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뉴스
"
인식
"(으)로 총 4,106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요이슈]“4분에 1시간 효과” 다바타운동 해보니
동아일보
l
2013.08.05
사용한다”고 했다. 고강도 운동을 하면 운동이 끝난 후에도 몸이 계속 운동을 한다고
인식
해 칼로리를 계속 소모하게 된다고 한다. 다바타 운동법은 그 효과가 최대 12시간까지 지속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짧은 운동을 마치고도 긴 시간 운동한 것처럼 칼로리 소모량을 늘리게 된다고 한다. 하지만 ... ...
급커브 빗길은 ‘미끄럼틀’… 베테랑도 시속 50km서 ‘꽝’
동아일보
l
2013.08.05
9배 높았다. 김상옥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빗길 감속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이 부족하기도 하고 빗길 과속이 보편화돼 속도를 줄이고 싶어도 주변 차들이 빨리 달리라고 위협적으로 반응해 감속하지 못하는 운전문화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주애진·조건희 기자 jaj@donga.com ... ...
인간이 뻔뻔하게 자기 합리화를 할 수 있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8.04
일어나고 있는 일을 그대로 보고 들을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보고 들은 정보를 뇌가 ‘
인식
’하는 과정에선 왜곡이 일어날 수 있다. 스스로를 속이는 ‘자기기만’을 행하기 때문. 예를 들어 허언증 환자는 자신이 거짓말을 하고 있단 걸 알면서도 스스로를 속이고 진실로 믿어버린다. 자기 자신에 ... ...
조선왕조의 수명을 100년은 늘린 천하의 명당
동아사이언스
l
2013.08.04
이룩해 놓은 안정되고 강력한 왕권을 보존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으로
인식
한다. 그런데 세종이 태종으로부터 낙점을 받은 이유로 매우 흥미있는 기록이 『태종실록』에서 보인다. 세종이 술을 적당히 마실 줄 알았다는 점도 태종으로부터 낙점받은 요인이라는 것이다. ... ...
"왜 나만 막히지?" 손실민감심리가 고속도로 반칙운전 부추겨
동아사이언스
l
2013.08.02
차로를 바꿔 다른 차량을 추월한 것보다 옆 차로 운전자에게 추월당한 횟수가 더 많다고
인식
했다. 또 운전자들은 정체된 도로에서 자신이 운행 중인 차로의 차들보다 옆 차로를 지나가는 차들을 보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운전자 자신이 추월한 차량은 ... ...
보상과 처벌, 별개의 뇌세포가
인식
해
동아사이언스
l
2013.08.02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인데, 정작 뇌는 보상과 처벌, 즉 ‘당근과 채찍’을 따로
인식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크리스토퍼 피오릴로 교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보상에만 반응할 뿐 처벌에는 반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사이언스’ 2일자에 ... ...
‘도둑들’의 김혜수 능가하는 앵무새
과학동아
l
2013.08.01
나쁜 사람을 가리켜 조두(鳥頭)라고 부르며 놀리곤 한다. 새는 머리가 나쁘다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이 평가를 바꿔야 할 것 같다. 복잡하게 얽힌 자물쇠를 푸는 앵무새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앨리스 아우어슈페르크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연구팀은 앵무새도 복잡하게 얽힌 자물쇠를 풀 ... ...
“北해킹 이제 시작… 숨겨놓은 패 많아 악성코드에 모르고 당하는게 더 위험”
동아일보
l
2013.08.01
은 “당하는 줄도 모르고 당하는 해킹은 훨씬 더 많을 것”이라며 “국가적 차원의 보안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팀장은 국내외 유명 국제 해킹대회에서 해외의 유명 해커들과 싸워 여러 번 우승한 경험이 있는 실력파다. 현재 국내 대기업과 금융권을 비롯한 국방부와 국가정보원, ... ...
명장들 “핑계대지 말고 강해져라”… 학생들 “내앞의 많은 길 봤어요”
동아일보
l
2013.07.31
‘산소’와 같아서 이것이 없다면 생활이 불가능하다”며 “기능에 대한 사회적
인식
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계설계분야 기능한국인 이계봉 서광기연 대표도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람은 판검사가 아니라 기술인과 기업인”이라며 “기술에는 정년이 없는 만큼 평생 익히고 활용할 수 ... ...
[기자의 눈] 해외 석학도 누울자리 보고 다리 뻗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해외 인재들에게 한국이 연구하기 좋은 나라라는
인식
을 전하는 것은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정부는 IBS를 통해 2017년까지 상위 1%의 저명·신진 과학자 등 500명을 국내에 유치하겠다는 ‘브레인-리턴 500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는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