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검증에 성공한다면 중력파의 전파속도 등 기본적인 성질이 밝혀질 것이다. 서울대
이론
물리학연구센터 윤종혁 박사는 "LIGO계획이 완성된다면 1년에 서너번 정도 중력파를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프톨레마이오스 우주(천동설)는 2천년을 지배했고 뉴턴의 우주는 2백년을 ... ...
카오스와 퍼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좋은 것은 아닌 것이다.첨단
이론
을 상품화하는 기업측에서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라도 그
이론
을 실질적으로 채용했을 때 상표명을 붙이는 자세가 요구된다. 그리고 그러한 상품명을 붙인 이유를 떳떳하게 밝히는 태도가 중요하다 하겠다. 그렇지 않으면 '거짓말 잘하는 양치기 소년'처럼 나중에 ... ...
물리- 자석의 원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동이므로 자기장을 만드는 것은 결국 '운동하는 전하'다.앞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에 대한 논문제목이 자석에 대한 연구라고 했는데 실제는 '움직이는 전하 주위의 자기장에 대한 연구'였다.그 연구의 결론은 자기장은 전기장의 4차원적 효과라는 것이다. 4차원적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천문현상을 설명하는 데 많은 결함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천문학자들은 제멋대로
이론
을 덧붙여 지구 중심설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됐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 중심체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과 중세의 신학이 결합됨으로써 중세 전체를 지배하게 된 우주관이었다. 이 ... ...
(2) 판구조론 통해본 지구의 과거와 미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와 그 동료들은 최근 초대륙 주기(Supercontinent Cycle)라는
이론
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의
이론
에 의하면 초대륙의 수명은 약 1억년이며 초대륙이 분리되면서 형성되는 해양판의 수명은 약 4억년(해양이 형성·확장 되는데 2억년, 다시 닫히는데 2억년)으로 초대륙의 한 주기는 5억년이라는 것이다. 4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알짜' 정보일 가능성이 높다.우주 탄생 초기에 발생한 중력파도 검출할지 모른다. 현재
이론
가들은 빅뱅(대폭발) ${10}^{-42}$초 후에 최초의 중력파가 발생했다고 예측한다. 이 순간에 발생한 중력파는 우주공간을 자유로이 여행하면서 어느 물질에도 흡수되지 않고 우주 탄생의 초기 정보를 담고 있을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물체를 발견하였다. 그들 중 적어도 일곱은 오리온 성운의 한 지역에 있다.알렌과 버튼의
이론
에 따르면 매듭들이 주위를 둘러 싼 가스를 끌고나갈 때 생긴 것으로 보이는 이러한 흔적들은 불과 1천여년 전에 엄청난 규모의 폭발이 오리온 성운에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한다.폭발이 어떤 ... ...
화학 - 산성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O}_{2}$ → 2N0 - 4.3kcal위의 반응(1)에서 가솔린 1분자를 연소시키는데 사용되는 산소분자는
이론
적으로 12.5개이지만 엔진에서는 순식간에 연소가 진행되므로 연료:산소의 비율을 1:12.5로 하면 연료가 불완전연소해 일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즉 완전연소보다 적은 열에너지가 발생한다. 그래서 보통 연료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태양질량의 1백만배가 넘는 거대블랙홀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은하전체의 밝기로 빛나면서 숨바꼭질하는 이 괴물 천체가 거대 블랙홀이라고 추정된다 ... 에너지를 내놓는 과정이 바로 호킹복사다.물론 이는 양자중력
이론
이 완성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이론
으로 완성된 것은 아니다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어떻게 일어나며 결과가 어떻게 되는가의 문제와 관련돼 있다. 여기에는 개념적
이론
적 실증적인 문제 등이 있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확실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적어도 자연선택의 단위의 문제는 의인화된 비유로 말해질 정도로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확실하다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