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레터(letter)’ 형식을, 셀은 긴 논문(full article) 형식을 많이 싣는다”며 “셀은 단순한 발견에서 나아가 다각화된 증명을 담은 논문을 많이 싣는다”고 밝혔다. 실제로 셀에 게재되는 논문은 1년에 375편이다. 격주간과 주간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1년에 1000편 내외를 게재하는 사이언스나 ... ...
- 두 얼굴의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양자역학에 등장하는 파동방정식을 슈뢰딩거 방정식이라 하며, 이 방정식의 해는 전자가 발견될 확률을 나타낸다.이제 질문이 끊이지 않아야 정상이다. 대체 무엇 때문에 확률이라는 개념이 나와야 하는 것일까? 전자가 정말로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지나나? 그렇다면 하나의 전자가 둘로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핵물리학의 역사 속에서 한국과 관련한 이름을 가진 원소는 하나도 없다. 한국 과학자가 발견한 원소도 전무하다.하지만 새로운 원소가 유일한 목적은 아니다. 중이온가속기는 핵물리학과 천체물리학에도 큰 기여를 할 예정이다. 김 단장은 “우리는 의외로 ‘핵’에 대해 모른다”며 “셀레늄 등 ...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나온 것으로 추측했다. 장 속에 소화되지 않은 탄소질 찌꺼기가 있는 바퀴벌레 화석이 발견된 적은 있지만, 나무 성분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브란스키 교수는 “바퀴벌레는 중생대를 지배한 곤충 가운데 하나였다”며 “초식공룡이 멸종하면서 블라툴리다에도 먹이를 잃었지만, 지금도 일부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발견했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이런 기본을 확인하면서 준결정을 발견했고, 한때 결정으로 만들 수 없다고 생각했던 단백질을 결정으로 만들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연구의 기초 단계를 지지하고 있는 결정학, 2014년 결정학의 해를 맞아 우리는 얼마나 새로운 결정을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셈이다. 그 100년의 역사는 물리학 혁명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혁명의 역사였다. 힉스 발견 이후의 또 다른 100년은 인류에게 어떤 역사로 펼쳐질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가늠조차 하기 힘들다. 그러나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되리라는 점은 확실하다. 인간의 상상력은 광대한 이 우주의 ...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높이 200km에 이르는 거대한 물기둥이 얼음 표면을 뚫고 7시간 이상 치솟는 현상이 발견됐다. 유로파는 지구보다 두 배나 많은 바닷물이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다.이번 물기둥은 미국 남서부연구소(SWRI) 로렌츠 로스 박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 ...
- 차세대 ‘레이저’ 입자가속기, 한국이 주도한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LHC)를 이용해 발견한 ‘신의 입자’ 힉스가 노벨상을 받으면서 ‘입자가속기’도 덩달아 주목받고 있다(특집 3파트 참조). 현재의 입자가속기는 가속관 안에 전기장을 만든 뒤, 전하를 가진 입자를 밀고 끌어 입자를 가속한다. 그런데 최근 레이저에 입자를 실어 높은 에너지로 가속하는 새로운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영국의 로렌스 브래그란다. X선을 발견한 뢴트겐은 1901년, X선을 이용한 결정의 회절을 발견한 라우에는 1914년, 회절 무늬로 결정구조를 아는 방법을 알아낸 브래그는 1915년에 노벨상을 받았어. 브래그는 25세에 노벨상을 받아 역대 최연소 수상자로 유명하대. 내가 살아 있을 때 노벨상이 있었다면 ...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복잡성을 풀어냈어요. 덕분에 수학책에만 등장할 것 같은 개념을 미술관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지요. 같이 한 번 둘러볼까요?"우와! 여기는 미술관이 아니라 마치 과학실험실 같아요!“유빈 학생이 그렇게 느낄 만한 이유가 있어요. 여러분이 잘 아는 파스퇴르는 이렇게 말했어요. ‘무한히 작은 것의 ...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