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소리까지 듣는 피부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재료는 얇게 만들면 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자를 늘어나게 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
다. 소자의 내부 구조를 특수하게 만들어야 한다.얇은 전자피부 안에 각종 기기를 삽입해야 하는 것도 난제다. 고 교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바꿔주는 회로, 그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충분히 제공하는 식이다.저자는 본성을 억압한 채 일부만 일벌백계 해서는 당면한
문제
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역설한다. 한국 사회를 걱정하는 진정성이 느껴진다 ... ...
[수학뉴스]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계산해 NP-하드
문제
보다 더 어려운 PSPACE에 속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입니다.어려운
문제
라는 게 증명됐으니 이제 슈퍼마리오 게임을 잘 못한다고 해도 기죽을 필요는 없겠네요 ... ...
[수학뉴스] 수능 잘 보는 비법은 아침밥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친구들이 학교에 가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조금이라도 더 자느냐, 아침밥을 먹느냐의
문제
죠.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침밥을 꼭 챙겨 먹는 게 좋겠습니다.질병관리본부는 아침밥을 매일 먹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성적이 더 높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 ...
[인터뷰] 서검교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요즘 하고 있는 연구에도 나타난다.“올해 2월 즈음 30년 전에 나온 미분기하학의 미해결
문제
를 동료 수학자와 함께 풀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며칠은 설레서 잠도 못 잤지요. 사실이라면 이 분야에 미칠 영향이 상당히 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뭔가 찜찜했습니다. 여러 번 검토 작업을 했는데도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속 선생님 ‘콴다’ QandA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그런데 개개인의 질문 유형을 분석하려면 데이터가 매우 많이 필요하다. 그래서 콴다를
문제
풀이 애플리케이션으로만 보지 않고, 학생의 취약점 데이터를 모으는 데이터머신으로 이용한다.매스프레소는 이제 막 1년이 지난 스타트업 기업이다. 아직은 충분한 데이터를 쌓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 ...
[참여] 이런 게 다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가지고 있는 현실적인 고민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대해 이승재 연구원은 “
문제
가 잘 안 풀릴 때 극복하는 방법은 개인차가 심해서 해답을 주기는 어렵지만 개인적으로는 한 방법만 고집하지 않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해본다”고 답했다.학생들과 함께 강연을 들은 오승아 선생님은 “진부한 ... ...
[과학뉴스] 냉방병 원인균의 독특한 유비퀴틴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몸은 세포 내 단백질이 수명이 다하거나
문제
가 생기면 ‘유비퀴틴화’ 과정을 통해 제거한다. 쓰레기 단백질을 이동시키고 분해하는 과정은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암과 같은 질병이 생긴다.미국 퍼듀대 자오-칭 루오 교수팀은 최근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수밖에 없었다.AGN의 정체는 알게 됐지만, 더 큰 수수께끼가 줄줄이 제기됐다. 대표적인
문제
가 거대질량 블랙홀의기원이다. 빛은 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우주에서 먼 거리 너머를 보는 건 과거를 보는 것과 같다. 지금까지발견된 가장 먼 퀘이사는 거리가 130억 광년쯤 된다. 우주의 나이가 약 138억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대해 우리 의료계와 정부가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명윤리
문제
가 발생했을 때 보통 외국 사례를 참조하잖아요. 그런데 생존자 이식, 특히 생존자의 간이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뤄져요. 결국 우리가 나서서 주체적으로 연구해야만 합니다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