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m단위의 오차가 생기기 때문에 간발의 차이로 갈리는 판정에 쓰기 어렵다. 전파가 사람의
몸
에 막히거나 굴절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22명의 선수가 전파를 방해해서 생기는 오류는 공의 위치를 파악하기 더욱 어렵게 만든다. 게다가 악의를 가진 관중이 고의로 방해전파를 발사해 시스템을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시대 성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항체가 M2단백질을 공격해 수소이온이 통과하지 못하게 막으면 바이러스는 숙주의
몸
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M2단백질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이루는 다른 단백질에 비해 유전적인 변이가 거의 없다. 이를 이용하면 변종 바이러스에도 효과적인 백신을 만들 수 있다.연구팀은 M2단백질에 대항하는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후 시대’ 주장과 관련한 논란은 미국에서 벌써 5년 넘게진행되고 있다. 로봇의
몸
에 사람의 정신을 심는다는 그의 주장에 대해 종교계와 윤리학자, 시민단체 등은 “신의 영역을 침범하려는 시도”라며 우려하고 있다. 생물학자나 인류학자들 사이에서도 이와 같은 일이 실제로 벌어지면 진화의 ... ...
PART 3 수학으로 커보이게 만들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수학여행 일정이 절반을 넘었어. 지친
몸
도 쉴 겸, 눈부신 햇살로 가득한 지중해로 가보자. 어쩌면 우리 눈을 깜짝 놀라게 만들 문화유산을 만날 지도 몰라.네모반듯한 파르테논 신전의 비밀 신화의 나라 그리스에는 신을 위한 신전이 정말 많아. 파르테논 신전도 그 중 하나야. 기원전 438년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심지어 당신을 눈앞에 두고서도 전혀 알아보지 못한다. 치매 환자를 둔 가족의 고통은
몸
이 아니라 마음에서 온다. 차라리 그의 예전 모습을 몰랐더라면 덜 속상할 지도 모른다.좀비 영화는 비슷한 감정을 자극한다. 앞서 말했듯 좀비 영화는 리처드 매드슨이 뱀파이어 전설을 전염의 기제로 해석한 ... ...
[culture] 발로 느끼는 숨 막히는 절경 그레이트 오션 워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다리는 2분도 길게만 느껴지는데, 무려 2000만 년이 넘는 세월을
몸
에 새긴 숨이 막힐 듯 아름다운 해식절벽. 이 해식절벽 104km를 천천히 발로 느끼며 걷는 길이 있다. 바로 호주의 그레이트 오션 워크(Great Ocean Walk)다. 재빠르게 자동차를 타고 달리면서 멋진 풍광을 감상할 수도 있지만 한 걸음 한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맡은 이갑노 고려대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장은 “미라를 감싼 부장품과 수의, 미라의
몸
을 일일이 조사했다”며 “일부 세균이 발견됐지만 발굴 과정에서 유입됐을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한겸 교수는 “이번 결과는 한국 미라가 무균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다는 유력한 증거로 ... ...
자기 세포로 인공 폐 배양해 이식 성공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관지가 생겼다. 연구팀은 바이오리액터에서 폐를 꺼내 유전적으로 동일한 쥐의
몸
에 이식했다. 45~120분이 지나자 폐는 일반 폐와 비슷하게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성공적으로 교환했다.니클라슨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폐를 미세한 구조까지 거의 완벽하게 재생시켰을 뿐 아니라 가스교환에도 ... ...
모비딕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고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크기는 3m이며, 이빨의 크기는 지름이 12cm에 길이도 36cm나 된다. 연구팀은 이 고래의
몸
길이가 13m를 넘으며, 머리도 3m 이상이었다고 설명했다.이 고래는 크기와 습성이 허먼 멜빌의 소설 ‘백경’에 나온 거대한 고래 ‘모비딕’을 연상케 한다. 연구팀은 허먼 멜빌의 이름과 성경 속의 바다 괴물인 ... ...
염색의 진화, 쪽빛부터 카멜레온까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런 원리다.습도에 따라 색이 달라지는 솔베토크로믹 섬유는 대기 중의 수분뿐 아니라
몸
에서 나는 땀에도 반응한다. 이 섬유는 색을 내는 펄과 실리카를 혼합해 직물 표면에 바른 것이다. 건조한 상태에서는 실리카가 빛을 반사하지만, 습기가 차면 실리카가 투명해지면서 펄이 색을 낸다. 물 밖에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