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0,989건 검색되었습니다.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06
시력교정수술을 받을 수 없는 만 18세 이하의 사람에게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사실
은 만 6세부터 50세까지 거의 모든 연령대가 사용할 수 있는 렌즈다. 특히 콘택트렌즈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이나 각막의 모양과 두께가 시력교정수술을 받기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 또는 수술을 두려워하는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06
| 1만 원애벌레가 나비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세밀화로 담았다. 생태세밀화 작가인 저자는
사실
적인 묘사와 정확한 생태 관찰을 하기 위해 나비 100여 종과 꽃 150여 종을 직접 길렀다. 애벌레가 나뭇잎을 갉아 먹는 모습, 개미와 함께 공생하는 모습, 번데기를 만들어 웅크리고 있다가 나비로 탄생하는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6
있다.분위기를 뒤바꾼 계기는 염증에서 왔다. 염증이 선천성 면역 과정에서 나타난다는
사실
이 알려지면서 면역 기능을 강화하면서도 염증은 억제하는 백신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런 분위기는 1990년대 후반 세균과 바이러스를 감지해서 염증을 유발하는 ‘톨유사수용체(toll-like ... ...
사람은 성격으로 세상을 만난다
과학동아
l
201006
천만다행한 것은 그런 성격장애도 전문가의 도움과 자신의 노력으로 고칠 수 있다는
사실
이다. 방법은 자기가 스스로에게 어떤 신념을 갖고 있는지, 인간관계의 신념과 전략은 무엇이며 주로 느끼는 감정은 무엇인지, 단점과 장점은 무엇인지, 그중에서 어떤 면이 고착화돼 있는지 시간을 두고 ...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훈련 이야기를 들려 줬지. 그리고 꼭 우주에 가는 것만이 우주인이 되는 길은 아니라는
사실
도 말해 줬어.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우주인이 될 수 있다니! 고산 형과의 생생한 인터뷰를 보면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우주인이 되는 그날을 함께 꿈꿔 보자!왜 우주인에 도전했나요?우주인이 ... ...
자연의 놀라운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06
비늘이 수없이 새겨져 있다. 놀라운 것은 비늘의 곡선이 사이클로이드를 이룬다는
사실
이다. 잉어는 물이 가장 빠르게 흘러내리는 곡선을 아는 셈이다.민속촌에 있는 집에는 봉긋한 초가지붕이 올려져 있다. 미술시간에 집을 그릴 때 흔히 지붕을 세모로 그리는 것과는 다르다. 조상들은 여러 모양의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05
뻗은 지지대를 말한다. 원에 반지름을 그은 모양이 꼭 바퀴의 바큇살과 비슷하다는
사실
을 떠올리면 된다. radius는 빛줄기를 뜻하기도 한다.우리말로 원기둥이라고 하는 cylinder는 면이 원이며 바닥에서 수직으로 서 있는 기둥을 말한다. cylinder는 굴림대, 롤러를 뜻하는 라틴어 cylindrus에서 왔다. ... ...
방정식은 어디에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05
변수가 어떤 특정 값일 때만 참이 되는 방정식. 이리저리 머리를 굴리고 식을 바꿔서 마침내 정답을 찾아 냈을 때는 짜릿한 쾌감을 느낀다. 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 다양한 현상에 방정식을 적용해 풀어 보는게 어떨까? 그때까지 보이지 않던 새로운
사실
이 보일지도 모른다 ... ...
은하 운명 위협하는 초거대 블랙홀의 식탐
과학동아
l
201005
거대한 은하를 멀리 날려 보낼 수 있을 만큼 엄청난 양의 복사에너지를 방출한다는
사실
을 알아냈다. 결국 게걸스런 블랙홀의 식탐 때문에 늙은 항성은 자신을 대신할 새로운 항성 없이 소멸하며 은하는 어두워지고 죽는다. 또한 은하 중심에서 기체를 밀어내면서 새로운 물질을 제공받지 못한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05
일본에서 왔다고 잘못 알고 있었는데, 오히려 일본에서는 조선에서 고추를 들여왔다는
사실
이 제대로 알려져 있던 셈이다.권 박사는 귀국하자마자 옛 문헌에서 고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기록은 상당수가 한글(훈민정음) 대신 한문으로 적힌 탓에 생화학자인 그가 문헌을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