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model"(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2019.02.09
- M., Sherry, S. B., Vidovic, V., Saklofske, D. H., Stoeber, J., & Benoit, A. (2018). Perfectionism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 meta-analytic review.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088868318814973.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 ...
- [Science토크]무한경쟁 우주발사체 시장…한국형발사체 설 곳은동아사이언스 l2019.02.03
- 동안 75톤 엔진을 4기 클러스터링해 1단 엔진을 구성하기 위한 체계개발모델(EM·Engineering Model)과 3단의 인증모델(QM·Qulification Model)을 제작하고 성능을 검증해야 하는 게 1차적인 과제다.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의 엔진 시험발사체를 발사한 지난해 11월 28일 오후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사람>이 출간되었습니다. [1] Digman, J. M. (1990). Personality structure: Emergence of the five-factor model.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1, 417-440. [2] Epstein, S., Pacini, R., Denes-Raj, V., & Heier, H. (1996).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uitive–experiential and analytical–rational thinking sty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 390-405. [3] Francis, L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violence in Hispanic families. Violence and Victims, 9, 207–222. [8] Raven, B. H. (1992). A power/interaction model of interpersonal influence: French and Raven thirty years later. Journal of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7(2), 217–244. [9] Smith, D. L. (2008). Disability, gender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Relationships from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Sexuality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S. T., & Glick, P. (2008). Warmth and competence as universal dimensions of social perception: The stereotype content model and the BIAS map.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0, 61-149. Fiske, S. T. (2004). Social beings: A core motives approach to social psychology. New York: Wiley. Newman, G. E., & Cain, D. M. (2014). Tainted altruism: When doing some good is evaluated as worse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 381-393. Baumeister, R. F., Vohs, K. D., & Tice, D. M. (2007).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 351-355. Milyavskaya, M., & Inzlicht, M. (2017). What’s so great about self-control? Examining the importance of effortful self-control and temptation in predicting real-life depletion and goal attainment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2017.07.18
- 활동과 뇌의 관계를 진화의 관점에서 통찰했고 그 결과 ‘적응 능력 모형(adaptive capacity model)’이라고 부르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적응 능력이란 우리 몸의 능력이 필요(자극)에 맞춰 유연성을 보이는 현상으로 에너지최소화전략(energy-minimizing strategy)에서 비롯된다. 쉽게 말해 자꾸 쓰거나 외부에서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2017년 행복하고 싶다면, 이렇게 해보자!2017.01.03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7, 16489-16493. Bryant, F. B., & Veroff, J. (2007). Savoring: A new model of positive experien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IBS l2016.02.03
- 것이 더 많아요. 어쩌면 영원히 모든 질문에 답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요. 표준모형(Standard Model)은 자연현상을 간결한 수식과 문자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수학과 물리로 우리가 사는 세상을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김 연구위원은 큐브가 인생을 생각하게 하는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수 있는 탐사체(probe)가 초끈이론학자 에드워드 위튼의 비선형 시그마모델(nonlinear sigma model)에서 다루는 대상과 실제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 이로써 1990년대 초 그로모프-위튼 이론이 만들어졌다. 현재 사교위상수학과 초끈이론은 상호 간에 도움을 주고받으며 발전하는 단계에 와 있다.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