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자
제왕
스페셜
"
황제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수 없이 벤 섬을 떠나 당시 신성로마제국 치하의 프라하로 옮겼다. 당시 신성로마제국
황제
루돌프 2세는 브라헤를 궁정수학자로 임명했다. 이듬해인 1600년 독일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요하네스 케플러를 채용해 그때까지 자신이 모은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정리하는 일을 맡겼다. 천문관측에는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치매를 앓고, 노벨상 수상자도 치매를 앓는다. 좋다는 음식만 골라 먹은 로마의
황제
와 조선의 왕도 치매에 걸렸다. 치매는 도대체 왜 걸리는 것일까? 1993년 이런 미스터리의 실마리를 찾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아포지단백 엡실론 4 유전자의 네 가지 대립 유전자가 발견된 것이다. 알츠하이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프리카돼지열병 어떻게 한국까지 들어왔을까
2019.09.24
600여 년 전 중국인들이기 때문이다. 1405년 명나라 영락제의 총애를 받던 환관 정화는
황제
의 명령을 받들어 대선단을 꾸리고 총지휘관이 돼 원정을 떠났다. 1433년 7차 원정까지 정화는 남아시아와 아라비아를 거쳐 동아프리카까지 30여 개 나라를 방문해 명나라의 위세를 떨쳤다. 선단은 수백 척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집대성해가면서 수백 년에 걸쳐 형성된 공동 저작으로 보는 추세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황제
내경에 말라리아에 대한 기록이 있다. 지역적으로 집단 발병하며, 비장이 커지고 발작적인 고열이 나는 질병에 대한 처방이 있는 것이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아마 그 당시에도 중국은 말라리아가 유행했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이후 로마와 지중해 지역의 패권을 장악한 옥타비아누스는 제정로마 시대를 열고 초대
황제
인 아우구스투스가 된다. 헬레니즘 시대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로 정하는지도 사람마다 다른데 기원전 30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패망도 중요한 기준이 되는 이유는 이때 이후로 본격적인 제정 로마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갈레노스였다. 2세기~3세기 초에 살았던 갈레노스는 아우렐리우스
황제
등 네 명의
황제
의 시의를 지냈다. 갈레노스는 히포크라테스 의학(주로 4체액설)을 계승 발전시켜 그리스 의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덕분에 4체액설은 중세까지 1,500여 년 동안 위세를 떨쳤다. 고대 그리스 의학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94년 세금징수조합의 간부로서 처형됐다. 1799년에는 나폴레옹이 쿠데타를 일으켰고 1804년
황제
에 취임했다. 미터법이 큰 전기를 맞은 것은 19세기 후반이다. 1870년 국제미터위원회가 출범했고 1875년 5월20일, 드디어 국제 미터협약이 17개국 사이에 체결됐다. 이날을 기려 5월20일은 지금도 세계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
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남극
황제
펭귄 군집의 모습이다. 추운 계절이나 폭풍이 볼 때는 이보다 빼곡하게 수천~수만 마리가 모여 있다. 모여 있는 밀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위성 촬영으로 면적 ... 말
황제
펭귄이 최대 70%까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제
펭귄의 군집. 사진제공 ... ...
李총리 "과학기술 발달이야말로 가장 자랑스런 성취"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1967년 4월 21일 과학기술처 발족일을 기념해 1968년 제정됐다. 정보통신의 날은 1972년 고종
황제
가 우정총국 개설을 명령한 날인 4월 22일에 ‘체신의 날’을 정했다가, 체신부가 1994년 정보통신부로 확대 개편되면서 정보통신의 날로 바뀌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않고 이를 자양분으로 삼아 꾸준히 노력해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이 그런 경우다. 농구에 별 취미가 업는 필자는 당연히 마이클 조던은 타고난 농구선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드웨어, 즉 큰 키와 흑인 특유의 탄력성이 받쳐주므로 농구공을 만지자마자 두각을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