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구
배수도
하수 본관
하수 도랑
하수관
하수설비
하수시설
스페셜
"
하수도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히말라야 눈 더 하얗게 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히말라야 산맥 주변에 쌓인 눈을 헤치고 주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며 이 지역의 눈이 더욱 밝게 빛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SA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전 세계를 덮친 가운데 위성의 눈에 지구가 바뀐 모습이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인도 ... ...
하수도
침전물로 코로나19 전파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이는
하수도
를 타고 지역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된다. 하수 속 바이러스 농도를 확인하면
하수도
가 연결된 지역의 코로나19 감염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증상이 생기거나 확진자와 접촉한 사실을 안 이후에야 검사를 받는 것과 달리 화장실은 누구나 이용한다. 변기 물을 내리면 폐수는 8시간 안에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 진단, 타액 취합 검사도 시간·비용 측면에서 충분히 유용
2020.09.24
아직 취합검사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다. 하지만 일부 기술은 이미 지역사회에서
하수도
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추적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인구 1만 명에 숨어있는 한 명의 양성 사례를 걸러낼 정도의 민감도를 보인다. 과학자들은 침 시료와 취합 검사를 활용하면 의료진 보호를 ... ...
[코로나19 연구속보]
하수도
는 코로나 확진자 증가 일주일 전부터 안다
2020.09.21
밀집 지역에서 언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할지 여부를
하수도
침전물로 일주일 앞서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결과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가 급증하면서 검사 시간이 지체되고 있는 지역은 물론, 검사 인프라가 부족한 개발도상국에서도 방역 ... ...
'출근자 많으면 확진자 늘어난다' 코로나19 방역에 도움 주는 데이터과학
2020.09.04
직장으로 인식되는 스마트폰 위치 데이터가 많은 지역일수록 감염병 확산이 빠르게 일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구글 블로그 제공 정부가 8월 중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확산하자 같은 달 19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조치를 시행했다. 거 ... ...
중국·캐나다에서도 아파트 동시감염 사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7
시민들이 27일 서울 구로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길게 줄지어 서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서울시에 따르면 27일 구로구 아파트 관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는 28명으로 집계된다. 복도식 아파트 같은 5개 층에서 층 ... ...
데이터·AI 산업 확대하고 전국 지상지하 3D 지도 구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3D 지도가 구축된다. 지상에서 12cm 떨어진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정밀한 지도다. 또 상
하수도
나 공동구 등 지하시설 공간을 파악하는 지하공간 3차원 통합지도를 구축할 예정이다. 4차선 이상 지방도와 국도의 정밀도로지도가 마련되고 이들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제공해 산업계에서 활용하기 쉽도록 ... ...
방역당국 "中 네이멍구서 발생한 페스트 국내 유입 위험도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있다”고 말했다. 또 “과거와 달리 페스트 자체도 항생제로 치료가 다 되는 병이며, 상
하수도
가 같춰지지 않은 위생 상태가 열악한 곳에서 주로 발생하는 감염병이라 한국처럼 위생상태가 매우 양호한 국가에서는 우려가 적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 네이멍구 바예나오얼시 위생건강위원회는 ... ...
[프리미엄리포트] 바이러스는 어떻게 탄생했나
과학동아
l
2020.07.04
과학동아DB 특정 생명체가 최초에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고 그 이후에 어떻게 변했는지 알기 위해서는 흔히 화석이라는 증거를 활용한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크기가 너무 작은 데다가 DNA 또는 RNA 같은 유전물질을 단백질 껍질로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보니, 뼈나 잎맥 같은 단단한 부위가 있어 ... ...
코로나19, 훨씬 더 일찍 시작해서 훨씬 더 많이 감염시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8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국군의무사령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훨씬 더 일찍 시작돼 훨씬 더 많이 사람들을 감염시켰을 것이란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3월 채집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하수에서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검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