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곤충
대충
chung
스페셜
"
충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세상에 등장시킨 老화학자들
2019.10.10
이온이라는 단어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 전에는 음극에 리튬 금속을 놓고 리튬 이온의
충
·방전 반응을 진행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안전성의 문제로 리튬을 음극으로 사용하지 않고, 다른 음극활물질을 사용하면, 위의 위험성을 억제할 수 있다. LiCoO2 양극활물질과 마찬가지로 흑연이라는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그 동물의 몸에서 부화한다. 그리고 그 동물을 다시 고양이가 먹으면 고양이 몸에서 성
충
으로 자란다. 그리고 다시 대변으로 나온다. 따라서 토끼나 돼지를 날로 먹으면 인간에게 감염되기도 한다. 인간이 고양이 대변을 먹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고양이를 통하지 않으면 생애사가 완성되지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
2019.09.08
Tumor Necrosis Factor)의 다형성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혹시 어린 시절에 말라리아 원
충
에 노출되면 다발성 경화증이 덜 걸리는 것일까? 그런데 말라리아가 사라진 환경에서는 역설적으로 다발성 경화증이 발병하는 것일까? 의심은 가지만 확실한 것은 없다. 사르데냐섬에서 일어난 역설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한국 사회의 혐오에 대하여
2019.09.07
죄책감 없이 탄압하고 처단할 원동력이 되어 주기 때문. 대부분의 끔찍한 일들이 ‘XX
충
들은 막 대해도 돼’ 같은 작은 인식에서부터 시작된다. 혐오를 근절하기 위한 근본적인 인식 변화를 위해서는 우선 어떤 인권 침해나 학대도 ‘사소한’ 것으로 평가절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에서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아마도 헴 분자 혹은 아직 잘 모르는 특정 단백질을 알킬화하여 말라리아 원
충
을 죽이는 것으로 보인다. ATP를 분해하는 pfATP6 효소의 활성을 저해한다는 주장이나 세포막을 녹인다는 주장도 있다. 이렇게 개발된 아르테미시닌은 2013년까지만 해도 직접 재배해서 추출했다. 중국에서 전 세계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비장에서 제거된다. 물론 적혈구 내부에 있던 메로조이트도 같이 제거된다. 말라리아 원
충
에 저항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1944년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접어들던 때였다. 서아프리카에 파견된 군의관 윈스턴 에번스는 서부 아프리카인 600명의 혈액을 채취해서 연구했다. 약 20%가 ... ...
간세포에 숨어든 말라리아 생존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말라리아 원
충
이 어떻게 간세포 내에 잠복하는지 비결을 밝혀냈다. 사진은 말라리아 원
충
(초록색)이 사람 유전자가 생성한 단백질(빨간색)을 이용해 간세포(파란색)에 숨어 있는 모습. 듀크대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
충
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보니 북한 병사 기생
충
보도에 구
충
제 판매량이 두 배 늘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구
충
제를 복용한 게 언제인지도 모를 정도인 필자도 이참에 한 번 시도해봐야겠다. 이왕이면 항암 효과도 있는 니타족사나이드로.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일본산 굴이 하와이에서 발견된 까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0.01
표지엔 알코올이 채워진 비이커가 등장했다. 해양생물인 굴, 이끼벌레, 히드로
충
이 이 안에 살고 있다. 이들은 하와이의 앞바다에서 채취됐다. 하지만 고향은 이곳이 아니란다. 일본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6년에 걸쳐 이곳까지 이동해왔다. 미국 오리건주립대 연구진은 후쿠시마 사고로 인해 발생한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현재 아르테미시닌은 너무나 소중한 약물이기 때문에 이 약물에 내성을 갖는 말라리아 원
충
이 나오는 걸 막기 위해 단독으로 쓰지 않고 다른 약과 섞어 쓰고 있다. 이를 ‘아르테미신 기반 조합 요법’이라고 부른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