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
속행
추적
추격
실행
이행
수행
스페셜
"
추구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현장을 ‘체화’해야 한다는 국제협력에 대한 새로운 유권해석은 과학기술계가
추구
하는 ‘창조형’ 패러다임에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약탈적 이권 카르텔로 전락해버린 과학기술계에서도 절박감을 찾아볼 수 없다. 오히려 과학기술계가 대통령의 지적에 대해 철저하게 눈을 감고, 입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환경의 파괴로 귀결되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 발전과 함께 더 즐겁고, 편리한 생활을
추구
하고자 하는 인류는 자신도 모르게 지구를 파괴해 왔고 이제는 서서히 비가역적인 수준으로 지구를 바꿔 놓고 있다. 감염병은 인류를 공포에 밀어넣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새로운 감염병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있고, 고등학교 졸업생 대신 ‘성인재교육’이나 ‘인생2모작’을 내세운 ‘특성화
추구
형’도 있고, ‘정착형 비자’로 중국·동남아시아·중앙아시아의 학생을 끌어모으겠다는 ‘글로벌 인재 유치형’도 있다고 한다. 결국 윤석열 정부의 야심친 교육개혁은 기존의 대학은 ‘해체’해버리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나친 완벽주의자는 우울하고 외롭다
2023.05.27
부정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친밀한 인간관계를 쌓기 힘들어할 뿐 아니라 목표를
추구
하는 과정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등한시하는 식으로 사람들과 멀어지기도 한다. 일과 인간관계가 양립하기보다 둘 중 하나만 가능하다는 식의 태도를 보이고 주로 목표 달성을 위해 관계적인 가치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소년 마약 범죄 '철퇴' 필요한 과학적 이유
2023.05.03
쾌락성 섭식(hedonic feeding)은 먹었을 때 기분이 좋아지는 달거나 기름진 음식을 강하게
추구
하는 식성이다. 사람이 포함된 척추동물 계열과 5억 년 전에 갈라진 선충에서도 엔도카나비노이드 시스템이 있고 심지어 분자인 AEA도 공유하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 선충에 AEA를 투여하면 식욕이 늘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엉터리 문·이과 ‘통합’에 대한 내로남불식 사과
2023.01.18
선택권과 학습부담 경감을 핑계로 내세우는 억지스러운 문·이과 구분의 ‘폐지’를
추구
해야 한다. 이공계 진학을 위한 개념 교육 중심의 수학·과학 교육을 근본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 수학 문제풀이와 어설픈 과학 개념 대신 수학적 논리와 과학의 문명적 가치를 가르쳐야 한다. 2009년 개정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학생은 국가의 경제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인적자원’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복을
추구
하는 ‘인간’이라는 분명한 인식이 실종되어 버렸다. 교육은 헌법을 통해서 모든 국민에게 보장된 기본적인 ‘인권’이라는 상식도 설 자리가 없어져 버렸다.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뇌기능 향상에 초점을 맞춘 운동 관련된 분자들의 종합적 이해를 공동협력연구를 통해
추구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은 신학에서 어떻게 독립했을까
2022.10.25
진리를 향한 학자들의 노력에 의해 새로운 지식이 알려지고, 일반인들의 편리함을
추구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곤 했다. 신학 또는 성서의 해석이 의학발전을 지체시키기는 하지만 가로막지는 못했다. 아무리 현대인들의 지식이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져서 첨단학문을 발전시키고 있다 ... ...
[과기원은 지금] 고동연 KAIST 교수팀, 기체분리 전자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혹은 기업의 의사결정 시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합리성이 제한돼 최적의 의사결정을
추구
하기보다는 현실적인 대안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모델인 '제한된 합리성' 모델을 계승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기존의 모델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발전과 개방형 혁신 시대를 반영한 것이다. 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