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릇
행동
몸놀림
움직임
행위
태도
스페셜
"
짓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과의 비교가 내 삶을 괴롭힐 때 ‘선 긋기’
2021.01.23
지금 내게 그렇게 중요한가?’라는 질문을 던져보는 것이 도움이 되곤 한다. 또 실없는
짓
을 하고 말았다며 웃어 넘기곤 한다. 언제부턴가 내 삶의 모토는 ‘이미 가뜩이나 불행한 삶에 나까지 앞장서서 불필요한 불행을 얹히지 말자’다. 비교가 대표적인 예다. 내가 내 머리 속에서 만든 실체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도 어디까지나 인간이라는 점을 인정하라
2020.10.17
하나도 없고 완벽하기 때문에 이 친구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바보 같은
짓
을 하기도 하고 실수를 저지르기도 하지만 함께 있으면 즐거워서, 마음이 잘 통해서 같은 작은 이유들로 친구를 좋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구에게 완벽하기를 요구하고 친구에게 완벽하지 않다면 너와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품종개량학인 우생학을 창시했다(1865년). 우생학이 20세기의 나치즘과 만나 어떤 참혹한
짓
을 저질렀는지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또한 생존경쟁과 자연선택, 적자생존 등의 단어는 당시 번성하던 제국주의와 궁합이 잘 맞는다. 즉, 제국주의가 약소국을 침략해 식민지로 만드는 과정은 자연선택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통해 정확한 메커니즘이 밝혀지기를 바란다. 친화성 큰 식물이 어댑터 역할 해 가
짓
과 식물인 담배는 접붙이기 친화성이 유난히 커 다른 과의 식물과도 종종 접붙이기가 가능하다. 대목으로 국화(Cm)를 쓰고 접수로 각각 국화와 대두(Gm), 담배(Nb)를 써 접붙이기를 하고 4주 뒤 모습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을 소중하게 여기는 국회가 되고 싶다면
2020.05.27
과학과 기술은 유행어에 의해 발전하지 않는다. 지난 20여 년 동안 과학기술계를
짓
눌러왔던 ‘혁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진정한 혁신은 정치인이나 정책전문가들이 강조하듯이 남의 제도를 어설프게 흉내 내서 실현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사회로부터 진정으로 존중받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중구와 코로나19
2020.04.21
무찌르는 본래의 역할은 제대로 못 하면서 엉뚱한 곳에서 염증반응을 촉발하고 지속하는
짓
을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몸에 유해한 호중구의 활동을 억제하는 약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호중구 표면에 있는 CXCR2 단백질은 손상된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물질을 감지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일각에서는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을 신천지 탓으로 돌리지만 이 역시 ‘마귀의
짓
’이라는 주장과 별반 다름없는 수준의 발상이다. 신천지가 바이러스를 고의로 퍼뜨린 것이 아닌 바에야 실내 공간에 바이러스가 퍼져 있을 거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한 채 전염된 교인들은 그저 불운한 ... ...
[함께 봐요 CES] 자동차 부품 업체 獨 보쉬가 우주로 간 이유
과학동아
l
2020.01.07
통해 ISS를 유지 보수하는 시간과 비용이 매우 절약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사마르
짓
연구원은 “사운드시는 ISS에서 계속 테스트 중”이라며 “조만간 사운드시의 데이터를 분석해 성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NASA는 향후 달과 화성 탐사에 사용할 달 궤도 우주정거장인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
2019.12.07
전략은 자해 전략이나 다름없다. 암세포가 생각할 능력이 있다면 발암이라는 엉뚱한
짓
을 벌이지는 않을 것이다. 암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도 변이가 발생한다. 무제한 복제를 택한 암세포 사이에서 몇몇 다른 세포가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여러 종류의 클론은 서로 경쟁한다. 아마 단세포 생물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그러니까 갈릴레오는 망원경을 이용해 무려 2천 년에 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거
짓
말’을 밝혀낸 셈이다. 태양의 흑점도 마찬가지이다. 완벽한 태양에 얼룩무늬가 있다니!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당대의 화가였던 루도비코 치골리는 갈릴레오가 의대를 그만두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