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스페셜
"
줄
"(으)로 총 1,7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영향을 최소화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치명적일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어획량을 크게
줄
일 수 없으면 차라리 그물코를 작게 해 작은 개체도 잡히게 해 오히려 큰 개체를 보호하는 게 무리를 유지하는 데 더 낫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작은 개체뿐 아니라 일정 크기 이상의 나이 든 개체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차별적 판단과 편견을
줄
이려면
2025.01.18
때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지침들을 모두 미리 구비해 두었다가 그 때 그 때 나누어
줄
수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대체로 좋은 판단을 내리는 사람들은 실제로 존재하고 우리는 그런 사람들을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부른다. 어쩌면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축적된 방대한 판단 지침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펑크 스타일' 머리 가진 연체동물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5.01.18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펑크(Funk)와 이모(Emo) 음악을 즐기는 사람들의 머리 스타일을 닮은 2가지 동물의 모습이 ... 아쿨리페란의 수가 콩키페란 수에 비해 적은 것에 대해 이유를 알아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doi.org/10.1038/s41586-024-08312-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역시 어처구니없는 환상이다. 모든 부모가 AI 디지털 교과서가 요구하는 피드백을 제공해
줄
능력과 여유를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어설픈 에듀테크가 우리 사회의 고질적 병폐로 자리 잡은 '부모 찬스'를 더욱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을 더 걱정해야 한다. 디지털 교육이 학생의 ... ...
[의학바이오게시판] 루닛, 멕시코 의료기관 '살루드 디그나'와 파트너십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7
분석 솔루션이 응급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어 응급 외상 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미국 의료 현장에 최적화돼 있다”며 "해당 솔루션이 골든타임 확보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가 집어삼킨 노벨상…식어가는 관심
2024.10.23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했다. 노벨 과학상이 우리 사회를 발전시켜
줄
것이라는 어설픈 환상은 확실하게 버려야 한다. 노벨상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절대 아니다. 단순히 우리의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는 기회일 뿐이다. 노벨 과학상 수상이 우리의 목표가 될 수는 없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美 대선 결과, 미국 과학계에 큰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10.20
지원, 외국 과학자와 해외 협력, 차세대 과학자 교육 등 미국 과학 연구계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과 전 세계의 과학 정책에 대해 보도하는 제프리 메르비스 사이언스 선임 특파원은 16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쓴 글에서 "차기 미국 대통령 후보들은 이민, 경제, 전쟁 같은 주제에 다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육아 하는 부모, 죄책감
줄
여야
2024.09.28
다른 이를 볼 때처럼 힘들어하는 자기 자신에게도 따뜻한 시선과 응원을 보낼
줄
아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아이를 양육할 때에도 더 죄책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양육자들에 비해 자기 자신을 돌보는 건강한 행동들 (충분한 수면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쥐한테도 배울 점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썼다. 특별호에는 북미 대륙에 갈색쥐가 정착한 시기는 1760년경이라는 제이슨 문시-사우스 미국 드렉셀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의 논문이 실렸다. 1926년에 갈색쥐가 북미 대륙에 도착해 대륙 ... ...
[표지로 읽는 과학] AI에 설득당하는 음모론자…"음모론 믿음 2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5
'사이언스' 표지에는 인공지능(AI) 언어 모델과의 대화가 음모론자들의 믿음 수준을 크게
줄
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토마스 코스텔로 미국 아메리칸대 심리학과 교수팀이 생성형 AI 모델과의 짧은 대화만으로도 음모론적 신념이 깊게 자리 잡은 사람의 믿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