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정
규정
국한
제약
조건
금지
규제
스페셜
"
제한
"(으)로 총 1,44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증가하는 것은 사용량보다 과도한 에너지 공급과 관련이 있다. 자동화로 인한 신체활동
제한
, 자동차 출퇴근, 사무업무 일반화 등 실내 활동 증가와 칼로리 높은 음식섭취 증가가 원인이다. 이러한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해 생활습관병이 증가하는 것이다. 폐암이 흡연에 의해 발생한다는 논문이 처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아직 일반화하지 않고 있다. 예외적으로 코로나19 유행 시와 의료대란이 일어난 현재
제한
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필자가 의대생일 때는 혈압을 재기 위해 청진기를 사용해야 했고 그로 인해 혈압을 재는 것은 의사와 간호사에게 책임이 지워진 일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손쉽게 스위치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구가 적은 사람과 친해지려는 이유
2024.04.20
때문이다. 생각해보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쏟을 수 있는 시간이나 정성의 양은
제한
적이어서 표면적인 친구 관계 말고 서로를 믿고 의지할 수 있는 깊은 관계의 수는 대체로 비슷할지도 모르겠다. 친구 수가 적다고 의기소침해 하지 말자. 그런 당신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어딘가에 있을지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이제라도 국가 통계를 문란하게 만든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제한
적인 표본에 대한 자의적인 질문으로 생산되는 '여론조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것도 마찬가지다. 통계를 생산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운 것이 통계의 해석과 활용이다. 통계가 언제나 우리가 원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광우병 사태. 연합뉴스 제공 ● 헌혈에
제한
을 받는 프리온 감염병 필자가 영국을 처음 간 것은 2000년에 버밍엄에서 열린 국제생화학-분자생물학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다. 3년에 한 번씩 열리는 이 국제학술대회는 2003년에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기로 되어 있었지만 처음 발생한 사스(SARS,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주민들의 자발적인 협조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복잡한 도심에서는 그 또한
제한
적일 수밖에 없다. 결국 정부가 나설 수밖에 없다. 관(官) 주도의 제설 작업을 탓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차도와 인도에 쌓인 눈을 치우는 기적 같은 기술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제설차로 직접 눈을 치우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요소수 생산에 사용되는 ‘산업용’ 요소의 비중도 35%나 된다. 결국 중국이 요소 수출을
제한
하면 가장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차량용 요소수가 아니라 농업용 비료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미 요소의 가격은 크게 올라버린 상태다. 2년 전 요소의 국제 가격은 톤당 300달러 수준이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잘라버리는 것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뇌엽절제술은 정상생활이 어려운 환자들에게만
제한
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마땅했다. 그런데 실제로는 엉뚱한 행동을 일삼아서 남에게 피해를 주는 사람들의 나쁜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수술이 이용되기도 하면서 반대의견이 많아지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밝힌 논문이 실렸다. 다른 장기의 세포에서 Y염색체 소실이 일어나면 그 영향이
제한
적이지만 혈관을 따라 순환하는 백혈구는 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다가 Y염색체 소실이 가장 흔한 세포가 바로 백혈구다. 골수에서 조혈모세포(줄기세포)가 끊임없이 분열하며 세포를 만들어내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국화과의 제충국이 가장 널리 쓰이는 천연 농약이었다. 그러나 천연 농약은 효과도
제한
적이었고 생산량도 턱없이 부족했다. 뛰어난 효능을 가진 살충제를 비롯한 현대적 합성 농약은 20세기 세계대전의 산물이다. 합성 농약을 화학공장에서 대량으로 값싸게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20세기에 세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