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당화"(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어른이 더 하면 더 했지 덜 하지 않다2021.08.21
- 때 구체적으로 어떤 이점이 있는 지 잘 모르겠다. 나의 오이 혐오가 이해 받고 있고 정당화 된다는 느낌은 있겠지만 그 이상의 이점이 있을까?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많이 만들어서 특정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갖기 위함이라고 해도 오이 혐오파라는 정체성 보다 장기적으로 더 바람직한 집단 ... ...
- "미국의 악마화 전략, 북한 비핵화 위한 협상길 막고 있다"2021.08.04
- 미국 대외정책은 북한을 악마로 규정하고 악마는 지구상에서 없어져야 한다는 논리를 정당화하고 있다. 북한은 한때 미국으로부터 ‘악의 축’이라는 용어로 지칭되기도 했다. 미국의 이런 악마화 전략은 오히려 북한 비핵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대통령 외교안보 특별보좌관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눈 앞에 보이는 괴롭힘을 방관하는 사람들2021.07.31
- '남자가 그럴 수도 있다'거나 오히려 피해자에게 '너무 예민하게 굴지 말라'며 폭력을 정당화하는 사람들이 많은 사회일수록 더 많이 일어난다. 만에 하나 괴롭힘이 나타날 때마다 주변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개입했더라면, 어떤 종류의 사회적 제지나 처벌이 가해졌다면 지금처럼 여성이나 특정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딱 하나이기보다 여러가지다"2021.07.24
- 작은 서랍들에 지나지 않는다. 내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차이들, 흔히 차별을 정당화할 때 쓰이는 근거들 또한 많은 경우 지극히 임의적이고 사소한 것이다. 차이점을 생각할 때에도 실은 공통점이 더 많음을, 또 어떤 작은 차이 때문에 목숨 걸고 싸우기보다 훨씬 넓은 존재임을 기억하면 ...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지마비 환자의 상상 글쓰기 '마인드라이팅'동아사이언스 l2021.05.15
- 기술이 약속을 지키기 시작한 사례”라며 “뇌에 전극을 이식하는 BCI는 비용과 위험을 정당화하기 위한 엄청난 성능과 유용성을 제공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중요한 것은 속도가 기술 채택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가 아니라는 것”이라며 “알고리즘이 제한된 훈련으로도 잘 수행될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동 연구는 과학을 혁신할까2021.04.22
- 생존한 과학자일수록 기존의 체제가 마치 대단한 과학적 근거라도 있는것처럼 정당화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500년이 넘은 논문출판체계, 아무런 과학적 근거도 없는 연구비 심사체계, 심지어 과학적 사실 이외의 여러 권위가 정치적으로 논문 출판과 연구비 심사에 개입할 수 있는 현재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스타 과학자의 장례식과 과학의 진보2021.04.08
- 과학자의 장례식은 과학을 발전시키는가 과학자 사회의 정치적 성향은 단지 이론의 정당화 맥락, 즉 과학자가 자신의 주장을 담은 논문과 주류 이론들 사이에서 고민할 때에만 생겨나는게 아니다. 우리가 이미 살펴보았듯이, 과학생태계는 이미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이 이상적으로 상정했던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자화상2021.03.25
- 없다. 과학생태계에서 드러나는 성차에 대한 연구들은, 과학자사회가 언제든 차별을 정당화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알려준다. 한국 대학 과학자 사회의 계층화 요인 연구 한국의 대학은 인구절벽과 수도권 중심 편중이라는 현상을 통해 이미 엄청난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계는 '공정한 차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을까2021.02.25
- 말한다. 공리주의는 사회 전체의 큰 이익을 위해 소수자의 이익을 침해하는 것을 정당화하며, 결국 노예제도까지 인정하는 파국을 초래한다('이환구. 롤스의 정의론에 대한 재검토. 역사와 사회, 4, 9-27.'의 12쪽 요약) 롤스 교수는 자신이 제시하는 사회정의의 원칙이 실질적으로 실현가능함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2021.02.18
- 과학’의 기억이 남아 있다. 사회생물학이 세상의 불공평이나 차별을 유전자의 이름으로 정당화한다는 비난은 어쩌면 당연한 반작용이었는지도 모른다. 그 선봉격이었던 사람이 하버드 대학의 윌슨과 같은 건물에 있었던 굴드와 르원틴이었다. 이들은 유전자의 우월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