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스페셜
"
전력
"(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보다 한발 앞선 스위스 그림젤 연구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4
준비해 온 스위스의 그림젤연구소다.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연구에 최적의 장소
전력
수요의 38%를 원자력 발전으로 충당할 만큼 원자력은 스위스의 주요 에너지원이다. 안전에 대한 준비가 다른 어느 나라보다 철저한 스위스는 원자력 발전 시작 직후인 1972년부터 방사성폐기물 처리 연구를 ... ...
“통일
전력
협력에 관한 감동적 정책설계에 일조할 것”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4
하는 것이다. 남북한
전력
협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에너지안보이다. 남한에서 보낸
전력
의 투명한 사용과 송전망에 문제가 생겼을 때의 대응 문제가 중요하다. 전기는 수급이 실시간적으로 맞아야 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평화를 위한 수단이 평화를 깨는 방편이 될 수도 있다. 남북한 관계는 정답이 ... ...
원전 폐쇄를 앞두고 갈등에 쌓인 프랑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4
50% 감축, 2030년 기준 최종에너지소비 중 재생에너지 비중 32%로 확대, 2025년 기준
전력
생산에서 원자력 비중 50%로 축소 등이다. 에너지전환법은 한편으로 에너지 소비량도 줄일 것을 권고하고 있다. 건물 개보수를 지원해 에너지절약과 고용창출을 도모하는 한편, 대기오염을 줄이도록 운송수단에 ... ...
동북아 원자력 안전 미래 향한 ‘뉴 클리어로드’ 의 출발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원자력이 경쟁관계가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라는 점을 강조하고 기저부하
전력
으로서 원자력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삼국의 긴밀한 협력으로 아시아 원자력 안전 분야의 글로벌 리더 역할 기대 동북아 협력의 열쇠는 인력과 정보 교류 이어진 오후 세션에서는 여섯 명의 발표자가 ... ...
['고리 1호기' 특집(3)] 국민을 위한 결단,’안전’ 넘어 ‘안심’으로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올해 정부와 한수원은 국내 전체
전력
설비의 0.5% 수준인 고리 원전 1호기가 폐로하더라도
전력
수급에 큰 영향이 없다고 의견을 모으며 국내 원전 최초로 폐로를 결정했다. 한수원 이사회는 고리 원전 1호기가 2차 계속운전에 필요한 안전성은 충분하게 확보했으나 심사기간이 장기화되어 운전기간이 ... ...
['고리 1호기' 특집(2)] 에너지 자립을 향한 도전, 고리1호기의 탄생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전체가 3.1년, 255.1억kWh을 사용하는 울산공단이 5.6년을 사용할 수 있는
전력
량이다. 국내
전력
사용량 1위 공장인 현대제철 당진공장이 1년에 55억kWh를 사용하는데 이 공장이 26.2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고리 1호기는 가장 먼저 건설된 만큼 경험과 기술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그로 인해 ... ...
도심 속 연료전지 발전소 ‘상암’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1950㎉의 열을 생산해 화성시의 가정용
전력
소모량의 70%에 해당하는 13만 5000가구에
전력
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하지만 연료전지 발전소에도 단점은 존재한다.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초기 투자비가 비교적 높다. 현재 연료전지의 순공사비가 1kW당 약 500만 원(발전용) 수준이다. 원자력과 ... ...
신재생에너지를 위한 정책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12.8%나 늘었다. 전체
전력
공급량도 6.4% 늘었는데, 신재생에너지의
전력
공급량은 46.8%가 늘었다. 정부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하락한 덕분이다. 풍력 발전단가는 2010년에 1MWh를 생산하는데 22만원(환율1100원 기준)이었으나 2012년 말에는 11만 원으로, 태양광은 34 ... ...
울릉도 에너지자립섬 사업으로 보는 신재생에너지의 미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12
울릉도를 통해 우리는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에너지원에 대한 자체 기술뿐만 아니라
전력
소비량과 발전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며 이용하는 마이크로그리드 기술도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4개국 중 꼴찌일 정도로 ... ...
인공태양에 필요한 중수소와 삼중수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12
등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이 역시 화석 연료를 대체하기에는
전력
생산량이 적고 제한된 조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지구온난화와 에너지 문제 단번에 해결할 핵융합 이런 상황에서 과학자들은 온실가스에 따른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과 충분한 에너지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