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음
noise
누화
잡소리
잡담
잡말
거슬리는 소리
스페셜
"
잡음
"(으)로 총 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
2020.12.29
DNA메틸화를 되돌릴 때
잡음
과 신호를 어떻게 구분하는가는 아직 모른다. 그렇다면
잡음
을 없애는 단계에서 개체 재프로그래밍을 멈춘다면, 즉 분화된 세포들이 온전한 정보만을 지니게 된다면 몸이 다시 젊어지지 않을까. 미국 소크생물학연구소의 후안 벨몽트 박사팀은 이 가능성을 알아보기로 ... ...
[한 토막 과학상식]
잡음
적은 레이저 '브릴루앙 레이저'란 무엇인가
2020.12.24
빛을 내는 원리다. 브릴루앙 산란에서 나온 빛은 입력한 빛보다
잡음
이 매우 적은 만큼 저
잡음
레이저를 만드는 데 유리하다. 여기에 브릴루앙 산란이 잘 일어나는 물질을 찾아 레이저에 적용하면 초소형 및 저전력 레이저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한석 KAIST 물리학과 교수와 이용희 KAIST ... ...
레이더 핵심 부품 집적회로로 만들어 크기와 무게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송·수신기는 전파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전력증폭기와 들어온 신호의
잡음
을 낮추는 저
잡음
증폭기, 신호를 구분해주는 송·수신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송·수신 장치 안에는 이런 장치가 대략 1000개 모여있어 부피와 무게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최근 각 장치를 집적회로로 만들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정보에서 어떤 패턴을 찾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런데 때로는 이런 경향이 지나쳐 노이즈(
잡음
)에서 시그널(신호)을 ‘만들어내는’ 실수를 범하기도 한다. 의료분야에서는 이런 오진을 ‘가짜 양성’이라고 부른다. 십수 년 전 한 잡지(아마도 ‘내셔널 지오그래픽’이었던 것 같다)에 실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그 결과 발현되지 않아야 할 유전자나 전이인자(정크 DNA)가 하나둘 고삐가 풀리며
잡음
이 생기고 세포 노화로 이어진다. 지난 2013년 미국 LA캘리포니아대 스티브 호바스 교수는 인체 여러 조직의 DNA 메틸화 정도를 분석해 생물적 나이를 산출하는 후성유전적 시계(일명 ‘호바스 시계’로 불림) ... ...
[2020 국감] 과기정통부 산하기관·출연연 주요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근로자들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부당해고가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등
잡음
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늘어가는 실험실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도 질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경북대 실험실 폭발사고로 대학원생 3명과 학부생 1명이 화상을 입는 폭발사고가 발생했으나 ... ...
[주말N수학]항공우주 영상 분석 뒷받침하는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08.15
영상의 정보를 볼 수 있다. 웨이블릿 함수가 일종의 현미경 역할을 하는 거다. 거기서
잡음
정보만 제거하면 깨끗한 영상으로 만들 수 있다. 웨이블릿 함수란 다양한 신호가 섞여 있는 그래프에서 원하는 것만을 골라내는 수학적인 기법을 말한다. 이때 신호는 이미지를 숫자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 ...
[인간·공감·AI] ⑤ 귀 달리고 눈 달린 AI드론 사고현장 출동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재해와 재난에 대응하도록 개발할 계획이다. 광주=윤신영 기자 여러 가지 소음 등 환경
잡음
속에서 목표로 하는 소리를 정확히 탐지해야 하는 것도 난제다. 특히 드론에 탑재할 경우 드론 자체가 내는 큰 소음이 큰 문제가 된다. 드론 소음 역시 해결할 기술을 확보한 국가가 아직 없다. 김 교수는 ... ...
[뉴스페이스&뉴디펜스]미우주군은 왜 스타트업과 손을 잡았나
2020.05.26
것이 아니라 센서 데이타의 분석이다. 극초음속 미사일의 속도는 너무 빨라서 배경
잡음
과 실제 극초음속 미사일의 궤적 데이타를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인공지능(AI)에 사용되는 머신러닝은 이를 해결해줄 가장 대표적인 기술로 손꼽힌다. 머신러닝 기술을 보유한 AI 스타트업들은 ... ...
정부 "온라인 개학 철저 준비"…교육현장선 "학생 이해도 파악 어려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학생들이 많은 점을 감안해 보면 20~30명의 학생들의 원격수업 수강 환경은 다르다. 각종
잡음
이나 소음이 섞여 면학 분위기를 방해하거나 전반적인 수업 몰입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더 큰 문제는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를 교사가 알아채기 어렵다는 점이다. 대면수업의 경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