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스페셜
"
작은
"(으)로 총 1,43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암 발병·치료 원리 밝힐 3차원 종양 지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2
부위에 따라 종양이 약물에 다르게 반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장 점막에 생성되는
작은
돌출 조직인 용종 연구에서는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전조 증상이 확인됐다.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변하기 전 면역 반응과 호르몬 대사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변화가 일어난 세포를 표적으로 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로마테라피가 과학일까
2024.10.30
게 아니라 직접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작용해 죽이거나 증식을 억제한다. 아스피린처럼
작은
분자 약물이라는 범주에 들어간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필자는 감기에 걸리면 대접에 뜨거운 물을 담고 유칼립투스 오일을 몇 방울 떨어뜨린 뒤 수건을 뒤집어쓰고 증기를 들이마신다(이때 점막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또한 지나갈 것…비극적 낙관주의
2024.10.19
생로병사의 고통 따위를 겪지 않을 거라는 현실 도피가 아니라 어떤 일이 닥치든 아주
작은
것이라도 내가 나를 보살피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하나 정도는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일 거다. 그러다 얼마 전 이러한 태도를 일컬어 '비극적 낙관주의(Tragic Optimism)'라고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삶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압박감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이런 차이는 실패 패턴의 차이로도 드러난다. 즉
작은
보상에서는 이동한 손이 표적의 위치에 못 미쳐 멈추거나 지나쳐 멈춰 실패한 횟수가 비슷했다. 반면 잭팟 보상에서는 표적에 이르기 전에 멈춰 실패하는 횟수가 훨씬 많았다. 압박감으로 행동이 움츠러든 결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2024.10.12
한다. 그 아이가 겪은 사건 자체는 매우 사소하지만 그 사소한 사건으로 인해 아이의
작은
마음은 날개 없이 추락했던 것이 아닌지. 얼마나 감당하기 어려운 고통이었을 지 생각해본다. Beecher, H. K. (1956). Relationship of significance of wound to pain experienced.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61(17), 1609-1613.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육아 하는 부모, 죄책감 줄여야
2024.09.28
수 있었다. 인간이라는 종이 이만큼이나 살아남은 것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은
인간의 안전과 행복이라는 중책을 맡은 만큼 자책하지 말고 조금이라도 휴식을 취하고 재충전해서 멀쩡한 정신 상태를 만드는 데 힘써야겠다고 생각했다. 안타깝지만 어린 아이들을 케어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
2024.09.19
최근 조스택과 공동연구자들은 코아세르베이트 큰 방울을 증류수(DI water)에 넣고 저으면
작은
방울이 만들어지고 바깥쪽에서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안정해져(맨 오른쪽) 내부에 RNA 분자가 오래 머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따르면 초기 지구에서 막이 없는 원형세포가 빗물로도 충분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절'이 기분좋은 이유
2024.09.14
방법은 (나를 포함한) 세상 사람들이 조금씩 타인에게 친절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내가
작은
친절을 베풀었다면 이 세상은 적어도 그만큼 더 따뜻해진다. 내가 베푸는 친절이 나에게도 기분이 좋은 이유는 일면 내가 속한 세상과 내가 한 걸음 더 아름다워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세포 속 '미세핵' 붕괴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1
미세핵은 세포의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분리되면서 염색체나 염색체 조각을 포함하는
작은
핵이다. 미세핵은 붕괴를 반복하면서 암 진행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미세핵이 붕괴하는 메커니즘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스테파노 산타기다 밀라노대 종양학 및 혈액종양학과 교수팀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깨비 장마 시달리는 기상청, '맹목적 비난' 멈춰야
2024.07.31
풀어낼 수 없는 가장 대표적인 '비평형·비선형'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마존 정글에서
작은
나비의 날갯짓이 북경에서 거대한 태풍을 일으키게 된다는 '나비 효과'가 바로 그런 비평형·비선형 현상이다. 물론 정확한 일기예보에 대한 국민적 기대를 나무랄 수는 없다. 기상청은 예보의 적중률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