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스페셜
"
자리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연금개혁·의대증원 '과학적 근거'에서 '과학'은 어디?
2024.04.24
찾아내야 한다. 이제 자신의 과학적 근거만 옳다고 우기는 독단·독선·불통은 설
자리
가 없다. 정부가 의사와 무조건적인 '대화'에 나서야 한다. 정부가 양보했으니 의사도 양보해야 한다는 주장은 소모적이고 치졸한 기(氣) 싸움일 뿐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약탈적 학술지 퇴출시키려면
2024.04.11
없는 상황이다. 오늘날 MDPI는 명실공히 세계 최대의 오픈액세스 출판기업으로 확실하게
자리
를 잡았다. MDPI의 상업적 성공도 놀라운 수준이다. MDPI의 주된 수입원은 500스위스프랑(약 74만원)에서 2400스위스프랑(약 365만원)에 이르는 소위 '논문 게재료'일 수밖에 없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MDPI가 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수 없는 경제 상황을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가장 유용한 사회과학적 분석 수단으로
자리
를 잡았다. 그래서 현대 국가들은 대부분 통계청의 독립성을 보장해주기 위해 노력한다. 잘못된 통계가 엉뚱한 진단으로 이어져서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통계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어떤 이유로도 정부가 간호사를 범죄자로 만들어서는 절대 안 된다. 한의사가 전공의의
자리
를 대신할 수 있다는 주장도 볼썽사납다. 아직 수련 과정도 끝내지 못한 전공의·의대생을 대상으로 극단적인 협박과 겁박을 계속하고 있는 보건복지부의 모습은 절망적이다. 과학자를 ‘떼도둑’(카르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다윈은 제대로 답을 못했을뿐 아니라 장차 빈
자리
를 메꿀 화석이 발견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못했고 연결고리가 끊긴 화석을 설명할 수 있기까지는 약 한 세기가 흘러야 했다. 1962년에 쿤은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패러다임’이라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강사로 일하기 시작한 후 곧 교수가 되었다. 1940년부터 신설된 미생물학과 교수로
자리
를 옮긴 후에도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 연구를 계속했다. 학자로 명성을 쌓아가기 시작하면서 연구비를 많이 수주하게 되자 연구팀 규모도 점점 커져 갔다. 그러고 있을 때 페니실린이 발견되고 시판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여기서 얻은 추출물로 간호사의 부상을 치료했다. 파스퇴르는 같은 해에 특정 세균이
자리
를 잡고 있으면 다른 세균이 잘 자라지 못하는 현상을 발견하고 “한 미생물이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1889년에 비예맹(Jean Paul Vuillemin)은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가 자신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같은 단순한 밑감과 물질대사와 복제를 하는 세포 사이에는 아득한 복잡성의 간극이
자리
하고 있다”며 스탠리 밀러의 실험 이후 풍미한 여러 가설은 “생명의 기원이 화학적 요행이었다”는 순진한(무지한) 관점으로 이는 어림도 없는 소리라는 것이다. 생명의 복잡성을 뒷받침하는 엄청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않는다. 피하지방은 말 그대로 피부 아래층에 얇게 깔린 지방층으로 진피와 근육 사이에
자리
한다. 피부 중간층인 진피는 두께가 1~2㎜로 기능이 팔방미인이다. 먼저 다양한 센서(수용체)가 있어 가려움, 통증, 열기와 냉기를 감지해 뇌로 정보를 보낸다. 땀샘과 피지샘도 있어 땀과 피지를 만들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밝혔다. 골수에서 만들어진 백혈구인 단핵구는 심장 근육에 이르러 대식세포로 분화해
자리
를 잡는다. 그런데 Y염색체 소실 대식세포는 반복되는 심근 수축에 자극을 받아 섬유아세포를 활성화하는 성장인자를 분비하고 그 결과 세포외기질의 섬유화가 일어나 근육이 점차 굳어진다. 나이가 듦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