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력자
공동 작업자
스페셜
"
일의 동료
"(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2022] "받을 사람이 받았다"...인류건강과 혁신기술 '씨' 뿌린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7
페보 교수가 3일(현지시간) 독일 라이프치히에 있는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에서
동료
들과 축하 샴페인을 들고 있다. 앞서 노벨상위원회는 페보 교수를 2022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AP/연합뉴스 제공 3일부터 사흘간 2022 노벨 과학상 발표가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 순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
2022.09.24
찍히는 환경이 좀더 익숙한 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아는 선생님으로부터 “
동료
들의 존재 이유는 누군가 힘들어할 때 돕기 위함이며 도움을 구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도, 잘못된 일도 아니다”라는 말을 들었다. 머리로는 알고 있었던 이야기지만 직접 들었을 때 왠지 더 용기가 나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아있는 시간 떠올리면 '소확행' 많아져
2022.09.17
더 행복할 수 있는 일들을 하게 된다는 발견이 있었다. 또한 바타차르지(Bhattacharjee)와
동료
들의 연구에 의하면 시간이 유한함을 깨달을수록 평범한 행동들, 예컨대 가족이나 친구들과 식사를 하거나 작은 취미 생활을 하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경험을 하는 것만큼이나 큰 행복을 느끼는 경향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실함'은 미덕이지만 '재미'도 찾아야
2022.08.27
기계같은 사람이 되어버리고 마는 것일까. 퍼듀대의 연구자 사만사 랩카(Samantha Lapka)와
동료
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주변 사람들 중 꽤 성실한 사람 한 명과 적당히 성실한 사람을 각각 떠올려보게 한 후 얼마나 차갑고 로봇 또는 기계처럼 느껴지는지 평가해보게 했다. 그 결과 평균 이상으로 성실한 ... ...
[표지로 읽는 과학]양자효과 연구 위한 분자, 어떻게 한계까지 냉각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30
요인으로 작용했다. 안드레아스 신데볼프 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연구원과
동료
과학자들은 이날 사이언스에 양자효과를 가장 잘 관찰할 수 있는 상태인 '양자 축퇴(縮退)'에 도달하도록 극성 분자를 냉각시킨 성과를 소개했다. 축퇴란 양자역학에서 하나의 에너지 준위에 대해 두 개 ... ...
“어린이 급성 간염 원인, 2개의 일반 바이러스 동시 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2.07.26
이번 연구 결과로 급성 간염의 원인에서 코로나19 감염을 배제할 수 있었지만 아직
동료
과학자들의 검토를 받지는 않았다. 연구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바이러스의 계절적 순환 패턴 변화로 일반적으로 흔치 않은 바이러스 동시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이러한 경우 간염을 유발할 수 ... ...
알츠하이머 연구 흐름 이끈 미 논문 조작 논란…16년간 세계 과학계 오도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노골적으로 조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보통 학술 논문에 나온 연구 결과는 다른
동료
연구자 평가를 거치고 또 다른 연구자들도 같은 조건에서 재현할 수 있어야 학술 가치로 인정을 받는다. 사이언스는 이와 관련해 유명 과학자들조차도 이 단백질 연구 결과를 재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 ...
오미크론 초기 감염자 BA.4·BA.5 변이 재감염 가능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약간의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네이처는 해당 논문이
동료
평가(피어리뷰)를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코로나19 감염력이 BA.4와 BA.5 재감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피기 위해 5월 7일부터 7월 4일 기간 카타르에서 발생한 모든 코로나19 감염사례를 통계적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사회가 이호왕 연구그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2022.07.14
미 육군의 연구비로 시작된 이 교수 연구는 1975년까지 지지부진하다가, 그의 미국인
동료
이자 NIH에서 근무하던 벨리슨 박사의 편지에 쓰인 들쥐의 폐에 기생하는 곰팡이 독소라는 힌트를 통해, 들쥐의 폐를 조사하게 됐고 바로 여기서 ‘한탄바이러스’를 발견하게 된다. 한탄바이러스의 발견 ... ...
필즈상 품고 입국 허준이 교수 “수학은 가끔 적당히 포기할 줄도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친절하게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수상 소감에 대해 그는 함께 열심히 연구한
동료
를 대표해 큰 상을 받게 돼 매우 기쁘다고 했다. 허 교수는 “많은 분들이 함께 기뻐해 주셔서 더 행복하다”며 “앞으로 한국 수학계의 발전을 위해 제가 할 역할이 조금 더 커진 듯해 마음이 무겁기도 하지만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