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민수
사람수
인원수
머릿수
전국인구
전국
스페셜
"
인구
"(으)로 총 1,4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증원하는 일도 있었다. 이공계 인력 양성이 절박하다는 교육부의 변명은 심각한 학령
인구
절벽에 절망하고 있는 지방대의 입장에서는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옹색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이공계 학생들과의 릴레이 대화'에 참석하여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
[과기원NOW] KAIST, '
인구
위기를 과학기술로 극복'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아이디어 공모전 'KAIST Crazy Day'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의 주제는 ‘
인구
위기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의 활용 아이디어’다. 18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 제안서를 접수한다. KAIST 홈페이지(https://www.kaist.ac.kr/kr) 또는 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 홈페이지(https://cet.kaist.ac.kr)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가능하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인구
는 3640만 명에서 5170만 명으로 1.4배가 늘어났다.
인구
증가와 비교하면 의사의 수는 5배나 너무 많이 늘어났고 의대 정원도 57% 더 많이 증가했다. 연간 배출된 변호사의 수 30배 증가도 한꺼번에 늘어난 것이 아니었다. 법학전문대학원 제도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의료 현장의 의사 수가 늘어나는 데는 적어도 1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구
1000명 당 의사의 수가 2.6명으로 OECD의 평균 3.7명보다 낮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의 ‘1년간 1인당 진료 횟수’는 17.2명으로 OECD 평균 6.8명의 2.5배나 된다. 더욱이 ‘예방 가능한 질병에 의한 사망’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절반 수준으로 초기 리튬배터리 전기차의 주행거리 정도다. 엄청난 차이 같지만 사실
인구
가 과밀하고 이동 거리가 짧은 곳에서는 일주일에 한 번 충전이냐 두 번 충전이냐의 문제다. 나트륨배터리 전기차 가격이 1만 달러라면 가성비가 꽤 높은 것 아닐까. 만일 우리나라에도 수입된다면 살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사회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14만 명인 의사의 수가 2040년에는 46%가 늘어난다. 2050년에는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현재 2.84명에서 5.60명으로 늘어나서 경제협력기구(OECD)의 평균인 5.48명을 넘어선다. 본격적인 ‘의사 과잉’의 시대가 시작된다는 뜻이다. 2000년 의약분업 사태 이후 의대 입학정원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포기할 수는 없다. 물론 상황 변화도 고려해야 한다. 오늘날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인구
가 크게 즐어든 것은 사실이다. 불소를 첨가한 생수를 개발하는 시도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보건복지부와 치과의사협회가 구강보건법으로 법제화된 수돗물 불소 농도 조정 사업에 대한 의지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정부는 당연히 축제 분위기에 들떴다. 중국 공산당의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전세계
인구
의 5분의 1이 다양한 형태로 춘제(春節)을 맞이하고 있다. 춘제가 끊임없이 세계로 뻗어나가고, 세계는 춘제를 뜨겁게 품고 있다’고 떠들썩하게 보도했다. 중국을 빼더라도 음력설을 쇠는 사람들이 2억 명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인구
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도시는 사람을 많이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지만
인구
는 계속해서 늘어나면서 위생이 나빠지기 시작했다. 그렇게 수십년이 지나면서 도시 환경이 질병의 원인이 될 거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9세기 초에 채드윅(Edwin Chadwick)은 가난한 사람들이 병에 잘 걸리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합성 농약을 화학공장에서 대량으로 값싸게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20세기에 세계
인구
를 5배나 늘어날 수 있도록 해준 현대의 화학산업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통해서 급격하게 성장한 것은 역설적인 일이었다. 전투 현장의 해충 제거에 유용했던 농약은 핵심 전쟁물자였다. 정치인들도 엉뚱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