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스페셜
"
이래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DGIST 2023년도 학위수여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1인당 평균 약 6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지스트는 이번 학위수여식으로 지난 1993년 설립
이래
박사 1780명을 포함해 석사 4819명, 학사 1126명 등 모두 7725명의 과학기술 인력을 배출했다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빌 게이츠는 왜 '소 트림' 줄이는 연구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따르면 메탄은 10년 전과 비교해 약 2.2배 증가하며 1984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 사회는 부랴부랴 메탄 배출 감축에 나서고 있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전 세계 100여 개국 정상들이 2030년까지 메탄 방출량을 30% 감축하는 데 합의했다. 이른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않은 수가 암으로 생을 마감한다. 1971년 미국 닉슨 대통령이 암과의 전쟁을 선포한
이래
미국뿐 아니라 여러 나라의 수많은 과학자와 의사가 암을 정복하려고 노력했고 나름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지피지기면 백전불퇴’라고 상대를 속속들이 알아야 제대로 대응할 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있게 되었고, 1960년대에 세계보건기구가 범세계적으로 두창 박멸운동을 벌인 결과 유사
이래
수시로 인류를 괴롭혀 온 두창 환자 발생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1977년에 소말리아에서 마지막 환자가 발생했고, 1978년에 실험실 사고로 환자가 발생한 후 전세계에 아무 환자도 발생하지 않자 1980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도발적인 프로젝트로 물질(무생물)에서 생명체를 만드는 연구다. DNA이중나선 구조 규명
이래
생물의 작동 원리가 거의 밝혀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물질에서 생명체를 만드는 건 아직 꿈같은 일이다. 지난 2010년 미국 크레이크벤터연구소가 박테리아의 게놈을 통째로 합성해 ‘인공생명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바로 음식을 씹을 때 동원되는 얼굴의 근육들이다. 인류가 1만 년 전 농업을 발명한
이래
음식을 먹기 좋게 만드는 노력을 꾸준히 해왔고 최근 수십 년 사이 식품가공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씹을 일이 확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음식을 씹는 데 들어가는 시간뿐 아니라 힘도 줄어들면서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스마트 수과학실 지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24
대체에너지 분야에서 신규 연구 협력을 하기로 했다. 양국은 1995년 처음 공동위를 개최한
이래
그동안 총 44개의 과학기술 분야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 ...
20년 동안 신규감염 40% 예방…에이즈 예방주사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에이즈 신규 감염자는 150만명을 넘었다. 전년도와 비교해 3.6% 감소했는데, 이는 2016년
이래
가장 낮은 감소율이다. 지난해 기준 HIV 전 세계 보균자는 3800만명이며, 에이즈 관련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은 약 6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UNAIDS는 후진국과 개발도상국에서 HIV 확산을 막기 위해선 29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분석하는 과정에서 오늘날 유전학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발견을 했다. 참고로 중세
이래
당시까지도 유럽의 몇몇 수도원에서는 가축이나 작물의 육종에도 열심이었다. 어찌 보면 멘델은 우장춘과 비슷한 면도 있다. 우장춘 역시 재배 기간이 짧지만 수확량이 적은 일본 재래 유채와 수확량은 ... ...
[프리미엄 리포트]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
2022.06.18
모습을 하고 있었다. 과거 그곳에선 대체 어떤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 처음 생겨난
이래
오늘날의 천왕성계를 이루기까지 이 거대한 얼음 행성과 그 위성들에는 어떤 역사가 흘러갔을까.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천왕성의 고리. 인류는 보이저 2호의 관측으로 천왕성이 고리, 위성 등이 있다는 사실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