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어
술어
시한
기한
총칭
말
말씨
스페셜
"
용어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기술은 딱딱한 설명과 난해한 전문
용어
, 어려운 수식이 전부일까? 과학기술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의심 없이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아름다운 일러스트와 간단명료한 그래프야말로 과학기술의 지식을 정확히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 ...
[기술이 바꾼 미래] 거대 제약사, 비아그라로 역습을 당하다
KOITA
l
2014.12.22
부작용이 유명한 ‘비아그라’를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적용처가 바뀐 비아그라 의학
용어
로 발기부전 혹은 성교불능은 원시시대부터 남성들을 고민스럽게 만들어 온 문제이다. 남성의 성교 능력은 발기가 충분히 되는가에 따라 다른데 발기에 관한 역학이 의학적으로 매우 복잡해서 사람들에 ... ...
핵비확산의 보장 없이는 원자력 발전도 없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쓰기 시작했다. 국제원자력기구(이하 IAEA)의 핵사찰이라는
용어
도 이제는 그리 낯선
용어
가 아닌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나라 역시 원자력 발전을 하는 상황에서 IAEA의 핵사찰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국민은 많지 않다. NPT는 1967년 1월 1일 이전에 핵무기를 개발한 국가(미국, ... ...
이제는 로봇도 '소셜' 기능 탑재하는 시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대형 서버와 개인 PC 간을 오가며 온라인 생태계를 구성한다. 여기서 '클라우드'라는
용어
가 등장했다.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그 속에 무엇이 있는지 보이지 않지만 필요할 때마다 비를 내려준다. 인터넷 서버도 사용자가 자세한 구조를 알 필요 없이 필요한 정보만을 내려 받게 해준다. 로봇은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⑦] 생물의 에너지, 바이오매스
2014.09.22
식물체와, 이들을 식량으로 하는 동물이나 미생물 등 모든 생물체를 포함하는 생태학적
용어
다. 그러나 에너지 분야에서 바이오매스는 ‘연료로 이용할 수 있는 생물자원’을 말한다. 바이오매스로부터 만들 수 있는 연료는 생산되는 형태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액체 상태의 수송용 연료인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⑥] 흐르는 강물처럼, 다목적 수력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석탄과 같이 연소에 의해 각종 공해물질을 배출하는 연료와 대칭해 사용하는 사회학적
용어
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력발전이 청정에너지 설비의 22%, 발전량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대체에너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력발전소는 2012년 12월을 기준으로 국내 총 125개가 있으며, 연간 약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telomere)는 그리스어로 끝을 뜻하는 텔로스(telos)와 부분을 뜻하는 메로스(meros)에서 유래한
용어
로 말 그대로 염색체의 끝에 붙어있는 특정 염기서열을 일컫는다. 텔로미어는 그 자체에는 별다른 유전정보가 없지만 염색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생명 정보를 담은 DNA의 복제 ... ...
[Keyword로 읽는 과학] 더 큰 자극에만 반응하는 ‘팝콘 브레인’
KISTI
l
2014.05.26
Brain)’이라 한다. 데이빗 레비(David Levy) 미국 워싱턴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가 만들어낸
용어
다. 2011년 6월 CNN을 통해 처음 소개된 ‘팝콘 브레인’ 증상은 컴퓨터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지나치게 사용하거나 여러 기기로 멀티태스킹을 반복할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뇌에 큰 자극이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있는 것은 모두 인류를 위한 그의 발명 덕분이다. 현대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과학
용어
인 전력의 단위 와트(watt)는 그를 추모하여 이름 붙여진 것이다. 한 가지 아이디어가 곧바로 위대한 발명품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수많은 후속 혁신 작업들이 앞선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 ...
“급변하는 환경 반영한 새로운 나노 정책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제정하면서 나노기술 육성 정책을 펴왔다. 그러나 ‘촉진’이라는
용어
속에 연구개발(R&D)에만 집중된 측면이 많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10년이 지난 현재의 관점으로 보면 과거 정책으로는 다루지 못하거나 미흡한 부분이 많다는 목소리도 높다. “그동안 수정 계획이 몇 차례 나오긴 했지만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