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적
용적량
분량
함유량
산출량
스페셜
"
용량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UNIST, 해수전지 성능 대폭 향상시키는 '슈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대비 사이클 성능이 4배, 출력 성능이 30% 향상됐다. 전압 간격은 20% 수준으로 감소했다. 대
용량
셀에서도 출력 성능이 15% 증가했으며 저항과 전압 간격이 각각 25%와 20%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서녈 퍼티리얼스'에 지난달 20일 게재됐다. ■ KAIST는 탄소중립 ... ...
[오늘과학] 건물에 칠하면 내부 온도 낮아지는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에어컨 사용 등에 드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제품과 같은
용량
으로도 더 많은 면적에 페인트를 바를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데바시스 찬다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 나노과학기술센터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페인트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대신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나트륨 이온은 리튬 이온보다 덩치가 커 같은
용량
일 경우 부피와 무게가 더 나가 부피와 무게가 상품성의 핵심 요소인 제품에는 쓸 수 없다. 다른 의미로는 나트륨 이온을 활용한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낮다. 생물로 넘어오면 이야기가 많이 달라진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전자구조 제어 기술을 통한 고성능 리튬-황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수 있는 반응성을 개선했다. 전지 내부에 소량의 전해액 양을 사용하더라도 높은 가역
용량
, 구동 전압, 그리고 수명 안정성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17일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조재흥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금속-활성산소 종의 ... ...
[과기원은 지금] 전상훈 KAIST 교수팀, 기존 메모리 성능 뛰어넘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음의 정전
용량
현상은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전하량이 감소함을 의미하는 ‘음의 정전
용량
효과’를 이용했다. 차세대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용량
은 주어진 시간에 주변 열을 얼마나 흡수하는가를 뜻하므로 지금 상태로는
용량
이 너무 적어 상용화할 수 없다. 물론 저자들은 이에 대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며 이온 투과 속도를 지금의 100배 수준으로 높인 막을 개발하는 건 시간문제일 거라고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길에 뿌려진 ... ...
[과기원은 지금] 강주헌 UNIST 교수팀 혈액정화 치료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박막 위에 탐침으로 데이터 저장 영역을 그려낸 결과, 저장
용량
이 1cm 면적 당 1테라비트(Tbit)까지 늘어났다. 전기장을 이용한 데이터 저장법과 달리 탐침을 이용한 방법은 적은 힘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자에 가해지는 부담도 적다. 향후 집적도와 효율을 높인 차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근무력증에 처방됐고 한때 운동선수들이 기록향상을 위해 복용하기도 했다. 그런데
용량
이 어느 선을 넘어서면 신경 흥분이 지나쳐 경련으로 나타나고 질식으로 죽음에 이르기도 한다. 스트리크닌의 치사량은 0.1그램에 불과하다. 역시 쓴 물질인 카페인의 치사량이 10그램(커피 100잔)인 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있다. 실제로 ‘독성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르네상스 시대의 독성학자 파라켈수스는 ‘
용량
(dose)이 독을 만든다’고 했다.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너무 많이 먹으면 독이 되고, 아무리 치명적인 독이라도 충분히 적은 양을 섭취하면 오히려 약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설탕과 같은 탄수화물이나 ... ...
한국 우주탐사선 '다누리' 내달 5일 135일간 달까지 긴 여행길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우선 발사 후 약 60분경 첫 교신과 초기 점검이 이뤄지고 발사 24시간 뒤에는 보다 많은
용량
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고이득 안테나’를 통한 교신을 시작해야 한다. 특히 BLT 궤적으로 비행하는 동안 진입 후 9번의 궤적 변경 기동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BLT 궤적에 진입한 다누리는 태양과 지구,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