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스페셜
"
약물
"(으)로 총 77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교수는 당뇨병 치료제인 'GLP-1'가 가진 포만감 유발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약물
이 비만치료제 개발로 이어지는 데 영향을 미쳤다. 제임스 햄린 미국 플로리다대 교수는 올해 초 발표돼 학계를 뒤흔든 상온 초전도체 연구의 문제점을 발견한 인물이다. 햄린 교수는 3월 란가 디아스 미국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등장 기능신경외과학은 각종 기능성 신경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신경조직을 파괴하거나
약물
주입, 물리적 자극 등을 통해 신경계의 기능을 변환시킴으로써 치료효과를 얻는 과정을 연구하는 신경외과의 한 분야다. 기능신경외과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신경계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병주고 약주는' Y염색체의 두 얼굴
2023.11.01
위험성이 커지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제대로 공략하지 못한다. 앞으로 KDM5D를 공략하는
약물
을 개발하면 남성 대장암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반면 방광암의 경우 Y염색체 소실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남성 방광암 환자의 암조직에서 Y염색체가 없는 암세포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발생하는 주폐포자충에 감염되어 있고 모두 동성연애를 하는 남성이었으며,
약물
을 주사한 경력이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얼마 후 카포시 육종이라는 희귀한 피부암도 발생했다. 조사에 들어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1982년부터 에이즈(AIDS, Acquired Immune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간암에서 혈관을 막는 치료룰 하는 것과 같이 영상으로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며
약물
을 주입하는 질병 치료에도 일정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오늘날에는 영상의학과로 이름을 바꾸었다. 또 치료방사선과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을 인체에 필요없는 종양세포에 집중시켜 그 세포를 파괴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더 유명해지게 되었다. 1932년에 독일의 도마크(Gerhard Johannes Paul Domagk)는 술폰아마이드계
약물
을 합성하여 세균에 의한 감염병 치료를 한층 쉽게 해 주었다. 수많은 유도체가 다양한 감염병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지금도 신약 개발에 이용되고 있는 이 물질은 도마크에게 193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때문에 활발히 연구할 수는 없는 연구분야이지만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사이키델릭
약물
을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여러 연구와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의 도전과 한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7.16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분야를 다룬 논문과 리뷰를 이번 호에 실었다. 과학자들은 AI가
약물
개발과 화학 분야에서 신약의 발견과 상용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의학 분야에서는 의료 로봇과 진단 AI 등이 광범위하게 개발되고 적용중이다. 그러나 편견과 차별에 대한 우려를 다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여기서는 편의상 네 가지(지방맛수용체도 포함)를 모두 그려 넣었다. 네이처 리뷰스
약물
발견 제공 장세포 실험 결과 아스파탐이 소장의 벽을 느슨하게 해 투과성을 높여 염증성장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고 활성산소 생성도 촉진한다는 것이다. 역시 널리 쓰이는 인공감미료인 수크랄로스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종이접기 원리로 미시세계 조절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3.07.08
있도록 했다. DNA 나노기술이 발전하면 나노 단위에서 물질을 제어할 수 있게 돼, 표적
약물
치료 등 그동안 한계가 있던 분야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DNA 나노구조체는 머리카락 두께의 수천 분의 1 수준으로 작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