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식간
찰나
삽시간
일순간
한순간
신속
즉각
스페셜
"
순간
"(으)로 총 69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
2024.07.13
혼자 있고 싶은 시간도 있고 반대로 혼자 있고 싶으면서 타인과 부대끼고 싶은
순간
이 오는 법이다. 따라서 어떤 특징이든 대충 그 반대 되는 것과 섞으면 모든 사람들에게 "그거 완전 나야"라는 반응을 듣게 된다. 이런 점에서 사람들에게 어떤 일반적인 특성을 자신의 고유한 특성처럼 생각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덩어리가 흩어져 있을 뿐 사물 사이의 경계를 파악하지 못했다. 다만 고정된 배경에서
순간
움직이는 물체는 식별할 수 있었다.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관찰한 결과 다행히 시지각이 서서히 나아졌고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두드러졌다. 그러나 정상 시지각 수준에는 결코 도달하지 못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땅 위의 한 지점을 둘러 서 있기에 뭔가 싶어 봤더니 도마뱀이었다. 그런데 이 녀석이
순간
꿈틀하더니 몸의 중간이 뚝 끊어지는 게 아닌가. 작은 뱀처럼 보이는 분리된 꼬리가 좌우로 격렬히 움직이며 주의를 끈 사이 녀석은 잽싸게 달아났다. 그런데 잘린 꼬리가 꽤 길어 내심 놀랐다. 하긴 꼬리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도마뱀 꼬리 자르듯 일부만 무너뜨려 건물 전체 붕괴 막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5.18
도마뱀의 꼬리에는 연골로 된 골절면이라는 특수한 부위가 있어 위험을 감지하는
순간
꼬리를 자를 수 있다. 신체 일부를 잃지만 포식자에게 먹히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선택이다. 연구팀은 지난해 6월 이 기술을 적용해 2층 조립식 콘크리트 건물을 짓고 지게차를 이용해 건물 하중을 견디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에게 따뜻해야 타인도 보듬는다
2024.05.04
인지하기: 인간은 누구나 나름의 한계를 가지고 살아가며 인생 1회차인 우리들에겐 매
순간
이 어려운 것이 당연하므로 오직 나만 힘들게 산다던가 실패하는 건 비정상이라고 보는 오만함 버리기 3) 판단하지 않기(mindfulness): 힘들 때 이런 걸로 슬퍼하고 좌절하는 내가 싫다, 이런 일로 슬퍼하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친구, 조수와 함께 기체의 냄새를 맡던 중 16년 전에 발견된 클로로포름 냄새를 맡는
순간
기분이 몽롱해지는 경험을 했다. 참여한 사람들 모두가 기분이 좋아져 말과 행동이 많아지면서 밤이 깊어가도록 아주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그 때부터 수차례에 걸쳐 반복하면서 효과를 검증한 결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
2024.03.30
그것이 뜻 깊은 일로 남을지는 미지수다. 글을 쓰는 일을 하면서 가장 큰 보람을 느꼈던
순간
들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다. 벌써 새 해의 3월이 지나가고 있다니 시간의 빠름을 믿을 수 없지만 타인과 즐거움을 나누는 경험을 통해 별 다른 의미 없이 지나갈 나의 하루를 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꼭 부정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한 번도 가보지 않은 여행지에 첫 발걸음을 내딛는
순간
이나 처음 입학, 출근하는 경험, 새로운 언어나 기술을 슥듭하는 과정, 처음 부모가 되는 경험 등 어제보다 조금 더 나은 나로 성장하기위해 자신을 갈고 닦는 모든 경험에는 기쁨과 설렘 뿐 아니라 다양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의미를 더 명확히 했다. 과학이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패러다임이 바뀌는
순간
마다 한 단계를 건너뛰듯이 발전한다는 그의 주장은 ‘왜 그걸 여태까지 몰랐을까’라는 생각과 함께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이 이론은 또 중간화석의 부재가 진화가 틀렸음을 증명한다는 주장이 옳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하는 것이다. 뒤보스는 1942년에 항생물질이 세균감염을 잘 해결하다가도 어느
순간
에 그 세균이 항생물질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런 현상을 ‘항생제 내성’이라 하며 이런 세균이 많아지면 세균 감염 해결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것이 그의 경고였다. 왁스먼은 스트렙토마이시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