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
뼈대
뼈다귀
뼉다귀
스페셜
"
뼈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인류는 5000년 전부터 말을 탔다..."역사 전환점"
동아사이언스
l
2023.03.06
기원전 3000년 사이 가축화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얌나얀인들의 유적지에서 말
뼈
나 마구가 발견되지 않아 말에서 우유를 채취하기 위한 것이 주 목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말을 탔다는 증거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다. 승마는 인류 역사의 중요 전환점으로 여겨진다. 말을 타면서 사람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같은 다양한 초식동물이 포함돼 있다. 특히 어금니 한 점과 가까운 곳에서 나온 하마
뼈
에는 석기에 훼손된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또 돌 표면에는 찧는 과정에서 묻은 것으로 보이는 식물의 잔해가 발견됐다. 저자들은 논문에서 “이번 발굴로 거대동물을 도살하거나 식물을 가공한 최초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것이 문제다. 최근에 3차원 인쇄술(3D printing)이 발전하면서 구조와 기능이 단순한
뼈
나 연골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어 의학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장기를 완전한 모습으로 만드는 것은 아직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공여용 장기부족 해결을 위해 재생의학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및 신경회로망에 변화가 유도되는 것처럼, 활발한 신체활동에 의해 활성이 증가한 근육,
뼈
, 지방, 심장, 간 등의 말초 장기의 변화가 잘 알려지지 않은 방식으로 뇌로 전달된다. 뇌는 말초 장기에서 유래한 신호들을 인식하고 이에 반응하여 다양한 변화, 예를 들어 신경세포의 생성 증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스트라우스만 박사팀은 역시 ‘사이언스’에 또 다른 흥미로운 사실을 발표했다. 뇌와
뼈
등 몇몇 경우를 빼면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암 대부분에서 종양 내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더 이상한 건 이들이 종양 미세환경에서 세포 외부 공간뿐 아니라 암세포나 면역세포 내부에도 침투해 살고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현대 인류의 기원과 특성을 고유전체학으로 밝히다
2022.10.04
바탕으로 해당 고대인의 유전자 지도를 해독한 것이다. 당시 데니소바인의 손가락 부분
뼈
에서 채취한 손상된 DNA를 재조합했다. 노벨상위원회 제공 고인류 유전체는 인류 진화의 이해 외에도 우리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유전학 연구에도 큰 함의를 갖는다. 사람들 사이의 유전적 차이가 질병 감수성, ... ...
[노벨상 2022]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까"...해답 찾은 생리의학상 수상자
2022.10.03
제공하기도 했다. 2008년 페보 소장은 러시아 데니소바 동물에서 4만년된 고대인의 손가락
뼈
에서 DNA를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데니소바'라고 명명된 이 인류 조상은 과거 유라시아 동부에 살던 데니소바인들이 네안데르탈인과 이종교배했다는 고인류학 역사의 단서가 됐다. 페보 소장은 또 ... ...
[노벨상 2022] 미라·고대인류
뼈
‘덕후’ 첫 생리의학상 안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03
새로운 길을 열어줬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교수 지도 없이 직접 네안데르탈인의
뼈
를 구해서 연구해 '셀' '사이언스' '네이처' 등 저명한 학술지에 발표한 학자"라며 그를 "고유전체학의 대부"라고 평가했다. 특히 진화인류학이 처음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데 대해 "실용성이나 새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쌍으로 있는 이들 근육을 합쳐 씹기근육이라고도 부른다. 이 가운데 광대
뼈
와 아래턱
뼈
에 걸쳐있는 깨물근은 우리 몸에 있는 근육 가운데 가장 힘이 세다(단위 단면적 기준). 귀밑 턱에 손을 대고 이를 꽉 물면 불끈 솟아나는 근육이 바로 깨물근이다. 저자들은 깨물근 바로 위 피부에 전극을 붙여 ... ...
약 700만년 전 인류 두 발로 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류와 유인원을 분류하는 기준은 두발로 걷는 '이족보행' 여부다. 인류학자들은 처음으로 두발로 걷기 시작한 종을 ‘최초의 인류’ ... 직후 두 발로 걷는 능력을 진화시킨 것으로 보인다”며 “동시에 나무를 오를 수 있는
뼈
의 기존 형태는 유지한 것”이라 밝혔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