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스페셜
"
분리
"(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변형력과 및 피부 당김의 느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했다. 사람 배 피부에서
분리
한 각질층(옅은 주황색)을 얇은 유리판(하늘색)에 부착한 반인공 피부를 상대습도 5%에 두면 각질층이 건조해지면서 수축해 유리판이 각질층 쪽으로 휘어진다. 이때 이동한 거리로 변형력(stress)을 측정한다.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회피행동과 연관된 전기 신호가 학습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이다.
분리
된 로팔리아를 대상으로 전기자극과 시각자극을 연합학습한 결과. A: 시각자극(CS)과 전기자극(US)가 동시에 가해졌을 때. B. 시각자극만 주어진 경우. C. 전기자극만 주어진 경우. D. 시각 및 전기자극이 모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했다. 토양속의 곰팡이를 연구하던 그는 광범위하게 곰팡이 속에 들어있는 물질을
분리
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열심히 일을 하기는 했지만 의학발전에 도움이 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지는 못한 왁스만도 1952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동일한 질병을 일으켜야 한다. 4.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동물로부터 동일한 병원균이 다시
분리
배양되어야 한다. 이 원칙에 의거하여 그는 1876년 탄저병, 1882년 결핵, 1883년 콜레라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발견했다. 또한 그의 4원칙을 따른 학자들이 이 원칙을 이용하여 다른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외면으로 파지요법은 본질적으로 맞춤형 치료이기 때문이다. 감염 부위에서
분리
한 박테리아에 맞는 파지를 찾아 치료제로 써야 하므로 번거롭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 상징되는 서구의 신약 승인 시스템도 파지요법 확산의 걸림돌이다. 임상시험 등 각종 조건이 너무 까다롭고 비용도 엄청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과학이다. 알프스에 대한 가짜 과학도 심각하다. 알프스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필터와
분리
막도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알프스의 가동이 중단된다고 처리하지 않은 오염수가 그대로 바다로 누출되는 것은 아니다. 오염수의 수질과 알프스의 성능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의미가 없다. 중요한 것은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선택해 왔다. 엉켜있는 실타래를 풀어낼 때 한 가닥 실마리를 실뭉치에서 조심스럽게
분리
해 나가면 실들이 어떻게 얽혀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복잡한 인체의 신비를 풀기 위해서는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문제들부터 풀어야 한다. 단순한 문제들의 해답들을 모아 더욱 복잡한 문제들에 단계적으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설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6.02
감압점착제에 온도 응성을 부여해 접착을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1일 밝혔다.
분리
수거 및 재활용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만들어질 스마트 점착제 설계에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연구팀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특성이 바뀌는 스마트 고분자에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귀금속 촉매 성능악화 현상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ACS 에너지 레터스 제공 ■ KAIST는 김희탁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얇은 고분자 막을
분리
막으로 사용하는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양극 귀금속 촉매 함량을 낮췄을 때 발생하는 성능 악화 현상을 규명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린 수소을 저가에 생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실마리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라거맥주의 맛이라고 느끼는 종류는 십중팔구 W34/70의 작품일 것이다. 참고로 최초로
분리
된 라거효모인 Unterhefe Nr. 1 균주의 게놈은 짐작대로 칼스버그의 연구진이 분석해 2014년 발표했다. W34/70 균주는 1947년에서 1955년 사이 독일 바이에른주 아우크스부르크의 한 양조장에서 채집돼 뮌헨공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