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룸
홀
루움
객실
거실
구들
대청
스페셜
"
방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받은 루이 시호요스 감독은 “수족관 돌고래가 아이들에게 교육적이라는 주장은 독
방
에 감금한 죄수를 보여주고서 인류에 대해 알아보자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일침을 놨다. 돌고래 관광은 자연에서 실제 모습을 관찰하는 생태 관광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호주와 노르웨이 등은 고래 생태 ... ...
도청의 세계 ③ 도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까
KISTI
l
2014.02.20
않고 파일로 작성해 별도의 암호를 걸어 전송하는 것을 추천한다. 도둑을 막는 완벽한
방
법은 없다. 다만 여러 겹의 자물쇠를 채워 시간을 지체시킬수록 발각되거나 체포될 확률도 높아지므로 도둑의 침입을 줄일 수는 있다. 이렇게 보안이 강화될수록 주인의 생활도 불편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 ...
이달의 엔지니어상 2월 수상자 선정
KOITA
l
2014.02.13
프로펠러 : 하나의 축에 프로펠러 두 개를 이중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각각을 서로 반대
방
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프로펠러 ※ 가변피치 프로펠러 : 프로펠러 날개의 각도를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프로펠러 o 권혁 수석연구원은 “시장개척에 앞장서고 있는 회사가 순항하는데 일조 할 수 ... ...
혁신 연구 체제의 구축, DARPA로부터 배운다
KOITA
l
2013.12.16
등도 연구 영역의 후보군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어떤 분야이든 우리나라의 국가 전략적
방
향에 부합하는 연구 영역을 정해야 한다. 그래야 본연의 목적인 국가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예산 확보부터 효과적인 연구의 진행까지 모든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기 때문이다.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
방
기술
KOITA
l
2013.12.10
전통 구들보다 훨씬 우수했다. 재미있게도 미국인 건축가가 조선으로부터 도입한 온돌난
방
기술은 다시 전쟁 후 경제성장기의 한국으로 역수입된다. 바닥을 데우는 것이 미국인에게는 아직 생소할 때인데다 건물을 빠르게 늘려야 했던 한국의 사정에 개량 온돌의 간편함과 효율성이 딱 맞아떨어졌기 ... ...
[웹툰] 문자녀
KOITA
l
2013.11.06
잘못 간 것입니다. 교수님 생각을 하면서 문자를 써서 수신자에 교수님을 쳤나 봅니다.
방
금 마주치고 지나간 학생으로부터 자신과 대화한 내용의 문자를 받았으니 교수님은 보면서 얼마나 웃으셨을까요? 생각할수록 너무 창피했지만 교수님이 저한테는 비밀로 하자고 하셨다길래 변명도 못하고 ... ...
친환경의 키워드, 물과 바람
KOITA
l
2013.08.23
막막해 보였지만 피어스는 흰개미의 환기시스템을 모
방
하여 최초의 대규모 자연냉
방
건물인 ‘이스트게이트 쇼핑센터(Eastgate Centre)’를 건설했다. 구조는 간단했다. 건물의 가장 아래층을 완전히 비워버리고 꼭대기에 더운 공기를 빼내는 수직 굴뚝을 여러 개 설치한 후, 두 개의 건물 사이에 소용량 ... ...
반도체의 탄생과 새로운 지평
KOITA
l
2013.06.17
작동을 보장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노이스와 무어가 창업한 인텔은 생산라인에
방
진장치를 도입함으로써 불순물을 대폭 줄이고 10%에 불과하던 수율을 50% 수준으로 끌어올려서 본격적인 상용화에 성공한다. MOSFET을 기반으로 한 집적회로는 반도체 기판에 ‘홈’을 파서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 ...
세계 원자력 R&D를 선도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KAIST
l
2013.05.27
에너지가 고갈되어가면서 원자력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특히나 석유 한
방
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꼭 필요한 연구이며 미래의 핵심 과학기술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최상의 안전과 최고의 기술을 만들어 나가고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응원의 박수를 보내자. ... ...
'원자력및양자공학과’가 궁금하다
KAIST
l
2013.05.23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금껏 과학 기술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은 연구 중의 90% 이상이
방
사성물질을 사용한 것이었습니다. 또한 ‘Nuclear Power Asia 2012 학회’동안 수행된 온라인 투표에서‘ Which country will lead the way in 2012 and beyond for nuclear power export?(2012년엔어떤 국가가 원자력 기술을 이끌어 갈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