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스페셜
"
반응
"(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친환경 선박용 LNG 연료전지의 연구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3.04
투과시키는 전해질을 지나 반대편 전극(공기극)에서 산소와
반응
해 물이 된다. 이온 이동
반응
현상을 이용해 전류를 외부로 꺼내 발전장치로 사용하는 원리다. 선박 탑재가 가능한 LNG 연료전지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개질 장치가 달린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FC) 시제품 시험장치를 이용하고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
IBS
l
2016.03.02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힌 연구자들은 199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일산화질소는
반응
성이 매우 커서 공기에 노출되는 순간 빠르게 다른 물질로 변질된다. 때문에 고체 물질로 응집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전이금속을 이용하면 일산화질소 응집이 용이하지만, 독성 때문에 인체에 사용은 ... ...
과학, 음식과 요리를 만나 새로운 길을 찾다
IBS
l
2016.02.29
몸속 미생물 집단과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주 연구대상으로 한다. 특히 알레르기
반응
을 비롯한 면역이상증상이 중요한 연구 과제인데, 이번 연구로 장 점막의 면역체계에 음식물에서 유래된 물질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성분과 미생물이 장내 환경에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
IBS
l
2016.02.02
이상을 보여주는 레이저. 찰나에 강하게 작용하는 레이저는 최첨단 기술로 발전해 화학
반응
이 일어나는 분자들의 운동까지 그려내고 있다. 윤 연구위원은 현재 레이저가 보여주는 세계에 푹 빠져 있다. 2015년 IBS 우수 연구원상 수상으로 새해를 기분 좋게 시작한 윤 연구위원의 2016년이 기대된다.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쬐면 보이는 물질을 넣고 엑스선으로 촬영하는 방식이다. 혈관 내에서 엑스선에
반응
하는 물질을 내놓도록 바이오 마커를 사용하는 것이다. 고규영 IBS 혈관 연구단장(KAIST 특훈 교수)은 혈관이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인 ‘콤프 앤지원(COMP-Ang1)’을 개발해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콤프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1억 달러를 과감히 투자해 파일럿 에피소드(몇 편의 시험 제작을 통해 시청자와 광고주의
반응
을 바탕으로 정규 편성을 결정하는 방식) 제작 없이 시리즈 전체를 한꺼번에 제작해서 드라마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다. <하우스 오브 카드>의 흥행에 힘입어 넷플릭스는 매출이 23% 증가하고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
IBS
l
2015.12.29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은 DNA 복제, 손상
반응
, 복구에 대해 분자적 수준에서 접근하고 있는 연구단이다. 이 연구단의 이규영 연구위원(좌)와 김태문 연구위원(우)을 울산과학기술원에서 만났다. - 김상현 제공 세포가 손상된 DNA를 어떻게 복구할까? 올해 노벨 화학상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은 3명의 ... ...
생명연장 꿈 이뤄주는 힘센 난쟁이
IBS
l
2015.12.28
상보적 결합을 하는 DNA', 치료 유전자인 '안티센스 DNA(antisense DNA)'를 붙여 세포 내 pH에
반응
하게 만들었다. 이 나노머신은 중성 pH인 암세포 밖에서는 나노입자 군집을 만들다가 산성인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서로 흩어지면서 내부에 있는 약물을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안티센스 DNA가 약물에 내성을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9]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0”
2015.12.02
핵융합의 연료인 수소와 삼중수소가 필요하다. 이어 이들 원자핵들이 결합해 핵융합
반응
을 일으킬 수 있는-지구상에 존재하지 않는 1억 도 이상의 플라즈마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가둬둘 수 있는 거대한 토카막과 같은 가둠장치가 있어야 한다.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
2015.11.30
왜 중요한 걸까. 핵융합에서의 극저온은 초고온과 떼놓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핵융합
반응
은 태양보다 뜨거운 온도를 유지해 원자핵들이 반발력을 이기고 융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어떻게 가둘 수 있느냐는 것. 이 정도 고온을 견딜 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