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채택
수입
제창
주입
스페셜
"
도입
"(으)로 총 1,46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DGIST "과학영재학교 설립 교두보 마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과학영재학교’ 설치와 ‘전문석사’ 학위과정
도입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이인선 국민의힘 의원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법' 개정안을 입법 발의했다고 8일 밝혔다. DGIST는 이번 입법 발의를 통해 과학영재학교 설립 및 운영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너지는 이공계 인력 양성 체계
2024.07.03
출연연의 민영화를 시도했고 지금까지도 고질병으로 남아있는 PBS(연구과제중심제도)를
도입
했다. 2005년에 불거진 황우석 사태도 과학기술계의 부끄러운 민낯을 고스란히 드러내 보여주었다. 이제 과학기술은 국가의 성장동력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가장 부담스러운 '고(高)비용·저(低)효율'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의사와 환자가 멀리 떨어진 상태에서 진행되는 원격수술의
도입
2001년 9월 7일, 약 6300km의 공간적 거리를 둔 상태에서 대서양을 가로지르는 첫 수술이 미국 뉴욕과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수행되었다. 프랑스 의사 마레스코(Jacques Marescaux)가 뉴욕에서 복강경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도입
된 의학전문대학원은 차의학전문대학원만 남기고 모두 폐지되고 말았다. 2011년에
도입
되었다가 작년에 모두 폐지된 약대의 '2+4년제'도 보건복지부의 요청에 의한 실패작이었다. 의약학 교육을 뿌리째 흔들어 놓았던 끔찍한 정책 실패였다. 그렇다고 후안무치한 교육부가 대학이나 국민에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임의적 개편에 따른 수험생의 혼란을 최소화하겠다고 1995년 5·31 교육개혁에서 처음
도입
한 제도가 '예고제'다. 수험생들은 중학교 3학년 때 예고된 제도에 따라 대학입시를 치를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것이 예고제의 입법 취지다.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3조 ③항의 '대학 구조개혁을 위한 학과 개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다른 접근법으로 문제해결에 나서고 있는데 감귤녹화병 저항성이 큰 감귤류인 탱자를
도입
해 잡종을 만드는 육종이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도 자라는 탱자는 독특한 향이 꽤 매력적이지만(열매를 실내에 둬 천연 방향제로 쓴다) 맛이 쓰고 시어 먹을 수 있는 과일은 아니다. 따라서 탱자와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계획 등을 점검하고 육성 방안을 논의했다. 합성생물학은 생명과학에 공학적 개념을
도입
해 DNA, 단백질, 인공세포 등 생명시스템을 설계·제작하는 기술이다. 한국은 지난 2022년 12월 '국가 합성생물학 육성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해 10월에는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을 마련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James Lind, 1716~1794)와 육군 군의관 프링글(John Pringle, 1707~1782)은 나름대로 위생 개선법을
도입
하여 감염병 예방예 공헌했다. 고든은 논문을 쓰면서 환자와 조산사의 잘못을 지적했으므로 제멜바이스처럼 두 집단은 물론 의사와 일반인들에게까지 비난을 받았다. 이것이 그의 업적이 세상에 널리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융합기술개발 882억원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지난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은 106회였다. 디지털지진계가
도입
된 1999년 이후 연평균 규모 2.0 이상 지진 횟수인 70.8회 보다 49.7% 많다. 2016~2018년은 계기관측 이래 최대 규모인 경주 지진(규모 5.8)과 포항 지진(규모 5.4) 여진들에 지진 횟수가 많았다. 지난해 규모 3.0 이상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고종 황제가 을미개혁(1896년)으로 오늘날 ‘양력’이라고 부르는 ‘그레고리력’을
도입
하고 ‘건양’(建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설날에 대한 혼선이 생기기 시작했다. 동지(冬至, 양력 12월 21일)로부터 열흘이 지난 양력 1월 1일이 새로운 ‘설날’이 되었기 때문이다. 18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