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지
땅
지상
대지
육지대
토지
뭍
스페셜
"
대륙
"(으)로 총 309건 검색되었습니다.
[커버링클라이밋나우] "작년 겪은 폭설·한파·폭우·이상고온, 올해도 찾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지난 2월까지 지난 겨울 내내 기온변동이 매우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부터 찬
대륙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12월 기온 하강폭은 전월 대비 11도로 나타났다. 1973년 이후로 가장 큰 변동폭이다. 1월에는 초순에 비해 하순에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기온변동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간다 전력망 확대 효과, 위성·AI가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9
아프리카
대륙
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유럽
대륙
곳곳이 밝은 것과 달리 아프리카
대륙
은 빛이 적다. 마샬 버크 미국 스탠퍼드대 식품안전및환경센터 교수 연구팀은 위성 이미지를 활용해 아프리카 국가인 우간다의 전력망을 분석한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간다 내 전력망 확대와 ... ...
[탄소중립 최전선] ①꿈틀대는 탄소저장 비즈니스...척박한 환경을 '기회'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CO2의 반응성이 좋아서 2년 내에 영구 저장된다"고 설명했다. 또 "국내에서도 최근 남해
대륙
붕에 있는 현무암 대지 구조에 CO2 지중 저장이 가능한지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카브픽스와의 기술 협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 유럽서 발생하는 CO2 저장하는 비즈니스 개발...2030년 연간 300만톤 처리 ... ...
[의학사로 읽는 세상] 뉴턴, 페스트 유행 기간 '만유인력의 법칙' 떠올렸다
2022.10.11
그레고리가 새로 만든 달력을 그 때까지 영국에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일이며,
대륙
에서 주로 사용하던 그레고리우스력에 따르면 뉴턴은 1643년 1월 4일생이다. 미 의회도서관 제공 지식을 사용하려면 객관식 문제에서 답을 고르는 게 아니라 어떤 문제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속 흰개미의 역할
동아사이언스
l
2022.09.25
수 있는지 확인한 연구 결과를 22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남극
대륙
을 제외한 전세계 133개 지역에서 흰개미가 얼마나 빠르게 죽은 나무를 분해하는지 관찰했다. 각 지역의 기온에 따라 분해 속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했다. 분석 결과 연구팀은 흰개미가 활동하는 지역의 ... ...
[과학게시판] 지질연, 탐사연구선 탐해3호 용골거치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용골거치식을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탐해3호는 6926t(톤)급 내빙등급 적용으로 국내
대륙
붕은 물론 극지 및 대양까지 탐사가 가능하다. 6km 길이의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 8조를 탑재했다. 시간에 따른 해저 지층의 변화를 탐지하고 예측하는 4D 모니터링 기술이 적용돼 해저자원 탐사의 효율성을 ... ...
막대한 홍수 피해 파키스탄 장관 "기후변화 일으킨 선진국이 배상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05
8월 파키스탄에 평년보다 500~700% 많은 비가 내렸다는 것이다. '계절풍'을 의미하는 몬순은
대륙
과 해양의 열 차이에 의해 계절풍이 부는 현상이다. 이때 기온이 높아지면 수증기가 많이 발생해 폭우로 이어질 수 있다. 2014년 부산대와 중국 난징사범대 국제공동연구팀은 지구 기온이 1도 상승하면 ... ...
[특별기고] 더욱 가까워진 우주시대...100년 뒤를 상상한다
2022.08.27
엄청난 모험이었을 것이다. 이제 인류는 미개척지 우주를 향해 빠르게 나아가고 있다.
대륙
시대와 해양 시대를 거쳐 20세기, 21세기에 항공 시대, 우주 시대를 활짝 열어가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두 가지 의미있는 예를 들어 보고자 한다. 1903년 12월 17일. 라이트 형제는 미국 노스캐롤리나 ... ...
[표지로 읽는 과학]대멸종 후 바다는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회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3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성이 축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초
대륙
이던 판게아가 여러
대륙
으로 갈라지면서 지구의 환경 조건이 안정을 찾았고 중생대와 신생대의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도움을 준 다양성 핫스팟이 등장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에 참여한 마이클 벤튼 브리스톨대 ... ...
[표지로 읽는 과학]아마존 우림 아래 감춰진 고대도시, 모습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11
제공 스페인이 남미
대륙
을 정복하기 전인 지난 500년부터 1400년 사이 아마존에 존재했던 초기 도시가 발견됐다. 1년 중 몇 달은 침수되는 아마존 저지대에서 과거 도시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라이다(LiDAR)를 비롯한 첨단 측량 장비들로 주변 지역을 탐색한 결과 서울 여의도보다 조금 더 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