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기념물
묘비
비석
스페셜
"
기념비
"(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
2019.06.06
발전하던 다양한 세포생물학의 기법들의 도움을 받았다. 이런 여러가지 요인들이 1956년
기념비
적인 논문에 얽힌 작은 이야기다. 치오의 능력을 알아본건 당시 빠르게 발전하고 있던 미국의 과학자들이었다. 195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인간유전학회에서, 레반과 치오의 연구가 발표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벤저와 코놉카는 미국 칼텍의 스승과 제자 사이로, 두 사람은 1971년 생체시계 분야에서
기념비
적인 논문을 발표했다. 결국 나머지 한 자리를 두고 올해 수상한 세 사람 가운데 한 명이 선택됐을 것이다. (어쩌면 2013년 노벨물리학상처럼 두 사람만 받았을 수도 있다. 1964년 몇 달 간격으로 발표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들 때 떠오르는 사람이 세종대왕이다. 비록 우리만 쓰고 있지만 한글은 문자의 역사에서
기념비
적인 업적이고 그밖에도 세종 시절 이룬 과학기술 업적이 눈부시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문짜와로 서르 사맛디 아니할쎄...’로 시작하는 ‘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면 가슴이 뭉클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미국의 천재 수학자 클로드 섀넌은 32세 때인 1948년 ‘통신의 수학적 이론’이라는
기념비
적인 논문을 발표했다. 섀넌은 논문에서 정보가 불확실성의 척도라고 주장했다. 즉 불확실성이 클수록, 즉 예측 가능성이 낮을수록 더 많은 정보를 뜻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섀넌은 정보의 질과 관련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반복단위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사실을 담은 그의 1957년 논문은 뇌과학의
기념비
적 업적으로 평가된다. 한편 존스홉킨스대의 동료 연구자였던 데이비드 허블과 토르스트 위젤은 고양이와 원숭이의 일차시각피질에서도 피질기둥구조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들은 이 발견을 바탕으로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
IBS
l
2015.11.17
다닐 때 러시아 수학자 미하일 그로모프(Mikhail Gromov)가 사교기하학 분야에서 굉장히
기념비
적인 논문을 발표했다. 덕분에 이 분야는 지난 20년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2009년 일본 수학자들과 함께 쓴 기존 책. 오 단장은 이 책이 일반적인 이론을 다뤄 훨씬 복잡해 대학원생이나 포스닥이 읽기 ... ...
[채널A] “진짜 인간 같다”…인공지능 판정 첫 통과
채널A
l
2014.06.10
조직자) 인간의 지능을 완전히 모방해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연구 역사상 매우 중요한
기념비
적인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최근 사람의 표정과 음성을 토대로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대화로봇이 개발됐습니다. [녹취: 페퍼 / 감정인식 로봇] "손사장님! 저와 악수하는 장면을 사진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다들 너무 작아 다 합쳐도 563그램에 불과했지만, 천체가 알려진 최초의 운석이라는
기념비
적인 시료들이다. 수주 뒤 72명이 참여한 두 번째 사냥에서 운석 32개를 더 찾았고 앞의 것까지 합쳐 총 무게는 3.95킬로그램에 달했다. 수거된 운석은 29킬로미터에 걸쳐 흩어져 있었고, 콩알만한 크기(1.5그램 ... ...
[채널A] ‘인류 메신저’ 보이저 1호 태양계 떠났다
채널A
l
2013.09.16
경계를 통과해 별들 사이의 우주인 성간우주에 진입했습니다. 인류의 우주탐험 역사에서
기념비
적인, 최고의 업적입니다. 보이저호의 원래 목적은 태양계 행성 탐사. 하지만 임무를 마친 뒤에도 20년 넘도록 1년에 3.5광년씩 더 먼 우주를 항해 중입니다. 보이저호에는 55개 언어로 된 인사말과 지구의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수 있는 ‘보어의 원자 모형’을 제안했다. 이 가운데 수소원자 모형을 제시한 1부가
기념비
적인 논문이다. 학술지 ‘네이처’는 6월 6일자에 논문출간 100주년을 맞아 ‘양자 원자’라는 제목으로 특집을 꾸몄고 여기에 과학사가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존 헤일브론의 글이 포함됐다. 또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