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권력"(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은 언제나 아프다2022.06.04
- 되고 늘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압박감도 덜해진다고 했다. 심리학에서 정의하는 권력이란, 이렇게 타인의 평가에 ‘덜’ 영향 받을 수 있는 힘이다. '지위가 올라가는 것=평가 받지 않을 힘=권력'인 셈이다. 또한 무엇보다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노벨상의 권위, 과학의 일탈2022.06.02
- 시작했다. 그는 대중매체를 통해 비타민C의 효능을 홍보했고, 대통령을 비롯한 그의 권력을 가진 친구들을 동원했고, 자신의 이론과 맞지 않는 실험결과를 만든 연구자를 해임하고, 미국 건강식품협회에 기부를 통해 상을 받는 등, 협잡꾼의 모습을 노골적으로 보여주었다. 만약 폴링이 노벨상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차별이 있다는 뜻이다2022.04.16
- 국가이다. 남녀 구성이 절반씩이고 장애인의 비율은 전체인구 대비 10% 정도이다. 하지만 권력을 가진 자리, 국회에서, 학교에서, 직장에서, 또는 그냥 길거리에서 이와 같은 비율이 그대로 지켜지는지 생각해보면 전혀 그렇지 않음을 금방 알 수 있다. 최근 이슈가 된 장애인 이동권 문제 또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보통과학자의 권리이자 의무는 '견제' 2022.03.24
- 위해 권위주의적이고 강압적인 정책이 실행될 수는 없다. 민주주의 사회인 대한민국에서 권력의 주체이기도 한 국민을 국가발전을 앞세워 관리하는 도구로 삼는 일은 헌법을 위배하는 일이다. 따라서 과학기술계는 윤석열 정부가 신설할 과학기술위원회가 박정희 시대의 권위주의적 조직과 반드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온라인에서 타인의 삶을 망가뜨리는 사람들2022.02.20
- 누군가에게 심한 타격을 주고 나서 느끼는 즐거움이나 권력감은 잠깐이지만 내가 그런 행동을 한 사람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누군가를 괴롭히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돌이킬 수 없게 망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자신의 영혼일 것이다. ※필자소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정한 이해2022.02.12
- 상사의 의중을 헤아리기 위해 머리털 빠지게 고민하며 눈치를 본다. 이런 점에서 권력은 곧 '이해하지 않아도 되는 힘'이기도 하다.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완고함은 별로 자랑거리가 아닌 것 같다. 결국 지혜로움, 현명한 판단력, 성숙한 이해 등은 (가치관이나 도덕관은 제외하고) 타인을 판단하는 ... ...
- 안철수 "평소 과학에 관심없는 사람, 공약 외쳐봐야 대통령 되도 실행하지 않을 것"동아사이언스 l2022.01.27
-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와 미중 패권전쟁, 4차 산업혁명이 지구 권력 지형을 바꾸고 있지만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패권전쟁”이라며 “신냉전은 과학기술 패권전쟁이라는 게 핵심”이라며 “이번 대선이 이런 중요한 때 열려 다음 정부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한편으로는 ... ...
- [화보]AI로 상상한 조선시대 산수화동아사이언스 l2021.12.17
- 받는 대통령이 아닌, 인물 자체만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했다. 서양의 인물화가 당시의 권력을 표현하기 위해 현재 가치를 사실적으로 담아내는 것과 반대로, 현재의 가치들을 걷어내고 인물의 본질에 집중해 미래에 평가받을 인물 자체의 가치를 담아내는 동양의 인물화 특징을 엿볼 수 있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백신 불평등과 오미크론, 그리고 과학의 희망2021.12.03
- 있는 백신 불평등을 ‘백신 아파르트헤이트’라고 불렀다. 아이러니한 일이다. 권력을 지닌 정치인의 과학적 태도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일은 법이나 제도로 강제할 수 없다. 오직 한 사회가 과학에 대해 가진 태도와, 그런 태도가 문화로 스며든 정도에 따라 정치 지도자의 과학적 태도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군가 좋게 바라봐주는 것만으로도 좋은 사람이 된다2021.11.20
- 행위다. 그러다 보니 보통 상대방을 이해하고자 하는 동기가 낮거나(관심이 없거나 권력적으로 우위에 있는 경우) 또는 스트레스가 심해서 인지적 능력이 저하되어 있을 때 이와 같은 단정짓기가 더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내 마음이 이렇게 쉬운 판단으로 기울고 있을 때 “잠깐만,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