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폭
맹렬
매서움
신랄함
극성
억지
억척
스페셜
"
과격
"(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밀도차가 비연속적으로 바뀌는 다층구조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이다. 물론 에스프레소를
과격
하게 부어도 액체가 너무 섞여버려 여러 층의 레이어드 라테가 나오지 못한다. 한 액체를 밀도가 더 큰 다른 액체에 그저 따르기만 했을 뿐인데 혼합물이 알아서 밀도가 계단식으로 차이가 나는 다층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
2016.03.29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려는 점에서 때론 법을 무시하거나
과격
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고. 여기에 테러 행위가 해당될 수 있다고 언급되기도 했다. 이렇게 ‘내가 백퍼센트 옳다’고 확신하고 싶을 때일수록 실은 매우 틀린 것일 수 있음을 생각할 줄 아는 게 중요하다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반면 탈모로 걱정이 많은 남성에게는 탈모를 역전시킬 ‘
과격
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이 될지도 모르겠다. 물론 ‘의사의 동의’ 없이는 절대로 실행해서는 안 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
2015.11.09
이 교수의 입장이 어떤지는 얘기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이처럼 비상식적이고
과격
한 의학가설을 즐기는 이 교수이지만 사람들에게 제시하는 건강의 비결은 오히려 지극히 평범하다. 즉 골고루 잘 먹고(다만 채식의 비율을 높여) 햇빛을 충분히 쬐고 운동을 적당히 하라는 것. 즉 우리 몸의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자신의 멋진 아이디어를 ‘피지컬 리뷰 레터스’ 같은 일급저널에 싣고 싶었지만 워낙
과격
한 주장이라 반발을 살 것이 뻔했으므로 간단히 정리해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간행하는 ‘피직스 레터스’에 보냈다. 1964년 2월 1일자에 간행된 불과 두 쪽짜리 논문의 제목은 ‘중입자와 중간자의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생물들과 연속성이 없어 실체를 놓고 여러 가설이 난무했는데 자일라허도 가세해 가장
과격
한 가설을 내놓은 것. 즉 에디아카라 화석군은 캄브리아기 동물계와는 별도의 계(Kingdom)라고 주장하고 ‘벤도비온트(Vendobionta)’라고 명명했다. 자일라허는 벤도비온트가 그 뒤 완전히 절멸했다고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온화한 방법이다. 위를 대상으로 한 비만대사 수술은 세 가지가 있다. 왼쪽은 가장
과격
한 방법인 위우회술로 체중감량 효과는 가장 크다. 식도와 연결된 위 부분을 달걀 크기의 주머니가 되게 묶고 여기에 잘라낸 소장(뒷부분)을 붙인다. 잘린 소장 앞부분은 소장 벽에 구멍을 내 연결한다.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묘사한 당시의 삽화. 눈꺼풀을 들추고 송곳을 찔러넣어 전두엽을 파괴하는
과격
한 방법이었지만 당시로서는 제법 각광받는 치료법이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누이인 로즈마리 케네디와 1940년대를 주름잡은 배우, 프랜시스 파머와 같은 유명인사들도 전두엽 절제술을 받았다. 무니스는 이 공로를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였다. 즉 몸의 에너지원을 포도당에서 케톤체로 바꾸는 다소
과격
한 다이어트법으로, 아이는 크림이나 버터 같은 고지방 식품을 집중적으로 먹어야 한다. 그 결과 놀랍게도 6주 만에 발작이 사라졌다고. 글에 따르면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를 한 환자 가운데서 40%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연구를 하고 싶은 열망이 갈수록 커졌지만 난자를 구하지 못해 애를 태웠다. 그의
과격
한 연구 주제 때문에 의사들이 그를 기피했기 때문이다. 그러던 어느 날 한 학회에서 부인학 전문의 패트릭 스텝토 박사를 만났다. 복강경 기술의 개척자인 스텝토 박사 역시 주위 의사들로부터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