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지역
지구
장애
정지
고충
이의
스페셜
"
고장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AhnLap] 여름철 IT 기기 관리는 이렇게
동아사이언스
l
2013.07.19
번개와 벼락으로 인해 전력이 끊어지면 전력선이나 인터넷선을 타고 PC에 과전류가 흘러
고장
날 수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 자리를 비우기 전에 PC의 전원 플러그와 인터넷 선을 뽑아두는 편이 낫다. 보안 측면에서는 휴가 직전에 PC 로그인 계정(ID, 패스워드)를 변경하고, 각종 애플리케이션(응용 ... ...
우주왕복선 스페이스셔틀의 비행코드 STS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86년 비행코드 STS-51L로 명명한 챌린저호가 발사된 지 72초 만에 오른쪽 고체로켓 부스터의
고장
으로 폭발하자 NASA는 반데버그 공군기지에서의 우주왕복선 발사를 모두 취소해 버렸다. 이 때문에 NASA는 비행코드를 다시 STS 다음에 숫자를 표기하는 형태로 바꿨다. 그런데 사고가 난 챌린저호의 비행 ... ...
[짭쪼롬 헬시가족 2화] 정간장 · 유별라 부부의 건강검진
건강 in
l
2013.06.19
나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듯이 40은 흔들리지 않는 ‘불혹(不惑)’이 아니라 여기저기서
고장
이 끊이지 않는 ‘불량(不良)’이 딱 어울리는 단어다. 부지런히 닦고 조이고 고치고…,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때가 바로 40대인 것이다. 드디어 검진 결과가 나왔다. 떨리는 마음으로 건강검진결과표를 ... ...
세계 원전 안전, 우리 시설로 확인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안전계통 등을 상세하게 축소 제작해서 원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고와
고장
을 실제 압력과 온도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대형 실험시설로, 우라늄 핵연료 대신 전기 가열봉을 이용하므로 냉각재 상실사고 등 다양한 사고를 방사선 사고의 우려 없이 모의 실험할 수 있다. ※ ATLAS는 ... ...
원자력의 전망이 어둡다고요?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KAIST
l
2013.05.28
않습니다! OR의 논리연산으로 계산하여 어떤 부품들의
고장
조합이 원자력 발전소의
고장
을 유발하는지 계산하는 방법이에요. 원자력 발전소는 수많은 부품과 기술들이 적용된 복잡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신뢰도를 계산하기가 굉장히 까다로워요. FTREX가 이 계산을 아주 빠르게 또 정확히 수행하지요 ... ...
바다와 해양에너지 지혜롭게 개발해서 현명하게 쓰자 1부
KIMST
l
2013.05.03
등 전기적 변환장치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효율이 좋고 유지보수가 쉬우며
고장
이 덜나 고 가격이 싼 그런 장치를 만드는 것이 첫 번째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보면 해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개발 이용 하기 위해서는 해양공간을 활용하는 기술이 핵심이 됨을 알 수 있다. ... ...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
KIMST
l
2013.05.03
하거나, 장례, 심지어 부부싸움 같은 일상 생활에서도 소리를 한다. 남도 최고의 소리
고장
인 만큼 각종 상설공연도 많이 준비되어 있 다. 진도대교를 건너 자리 잡은 울돌목 해상무대에서는 남도소리여행이 펼쳐지고 있으며 세 방낙조 전망대에서는 진도 북놀이를 체험할 수 있다. 국립남도국악원도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사용해야 한다. 뇌 일부가 손상돼도 계속 활동하는 사람의 뇌처럼 컴퓨터 일부가
고장
나도 계속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뇌 연구가 다른 분야와 융합하기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처럼 일찍부터 뇌 연구를 시작했던 곳들도 1~3년 전부터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폭발과 최근 국내 원전의
고장
과 위조부품 사용 등으로 원자력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커진 상태다. 2011년 대통령 직속 상설기구로 출범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런 국민들의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특히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3.25
사용해야 한다. 뇌 일부가 손상돼도 계속 활동하는 사람의 뇌처럼 컴퓨터 일부가
고장
나도 계속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뇌 연구가 다른 분야와 융합하기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처럼 일찍부터 뇌 연구를 시작했던 곳들도 1~3년 전부터 ... ...
이전
1
2
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