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스페셜
"
거대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것이고 파란트로푸스와의 싸움에서 무기의 우위를 차지했을 것이다. 파란트로푸스의
거대
한 턱과 치아는 먹을거리의 스펙트럼을 넓혔지만, 두뇌 팽창을 막아 똑똑하고 손재주가 좋은 에렉투스에게 결국 무릎을 꿇은 게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세포 밖에서 단백질 아닌 '고분자' 합성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도입하면 전체 합성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워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세포 내
거대
분자 '리보솜'의 내부에 '감마-케토산'과 '하이드라지노산'이 연속적으로 도입될 경우 파마코포어로 자주 사용되는 '피리다지논'이란 6각 고리형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6각 고리를 연속적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교육부에 남아있던 마지막 동아줄도 사라질 수밖에 없다. 과연 평생교육 업무만으로
거대
한 교육부의 존재 이유를 정당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는 두고 볼 일이다.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교육부가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지게 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기원 예산 이관 논란...혼란에 휩싸인 대학교육
2022.11.23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그런데 두 개혁 모두 국회가 법률을 고쳐줘야만 실현이 가능하다.
거대
야당이 틀어쥐고 있는 국회가 정부‧여당의 법안은 무작정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초중등 재정을 나누자는 특별회계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는 장관도 없었던 ... ...
[표지로 읽는 과학] 양이 사라지면 식물 다양성이 감소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11.12
가장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했다. 초식동물은 지속적으로 식물을 섭취해 특정 식물이
거대
하게 자라 태양빛을 가려 다른 식물의 생장을 막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초식동물이 없는 목초지에서도 램프를 이용해 빛을 비춰주면 생물다양성의 감소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었다. 빛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충격은 의과대학의 인기를 높이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당시 종자를 취급하는 외국의
거대
회사들이 국내 종자 회사들을 합병했다. 그 바람에 우리나라 종자회사들은 사라지다시피 했고, 농민들은 외국 회사로부터 종자를 구입하게 되었다. 문제는 다국적 외국기업은 유전자가 변형된 종자를 많이 ... ...
외계행성 대기서 철 2.5배 '바륨' 포착…"가장 무거운 원소"
연합뉴스
l
2022.10.14
'천체물리학 및 우주과학연구소'(IA) 연구진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설치된 ESO의 초
거대
망원경(VLT)으로 이른바 '뜨거운 목성'의 대기에서 관측 사상 가장 무거운 원소인 바륨을 포착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표면 온도가 1천 ℃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의미가 없어져버린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태풍은 반경이 500㎞에 이를 정도로
거대
할 뿐만 아니라 변화무쌍하기도 하다. 태풍의 중심이 끊임없이 움직이고 중심기압‧풍속‧강수량‧반경을 포함한 모든 특징이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런 태풍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이번엔 첫 외계행성 이미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02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7년 천문학자들은 칠레에 있는 유럽남방천문대의 초
거대
망원경(VLT)으로 행성을 발견하고 적외선 파장의 빛으로 이미지를 촬영한 바 있다. 이외에도 지상망원경으로 20여 개의 외계행성을 관찰한 적도 있다. 우주망원경인 JWST는 대기권의 영향을 받는 지상망원경이 ... ...
제임스웹, 이번엔 외계행성 대기서 이산화탄소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8.26
게재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WASP-39b는 태양과 비슷한 별을 공전하는
거대
가스 행성으로 2011년 처음 발견됐으며 지름은 목성의 1.3배에 달하지만 질량은 4분의 1에 불과하다. 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나 스피처 우주망원경이 이 행성을 관측했을 때는 행성 대기에 수증기, 나트륨, 칼륨 등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