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스페셜
"
각
"(으)로 총 1,6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분석해 보여줬다.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이 논문을 읽으면 고개를 끄덕일 것 같다는 생
각
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허리케인 지나간 뒤 사이 좋아진 원숭이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공개했다. 극심한 기상 이변은 생태계를 변화시킨다. 변화로 인한 피해가 지속되면
각
생물체는 적응을 위해 행동을 바꾸기도 한다. 집단생활을 하는 동물도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연구팀은 허리케인이 지나간 후 삼림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회공포증'과 '자기중심적 시
각
'의 악순환
2024.06.01
이렇게 사회공포증이 높은 사람들은 불확실성을 회피하기 위해 자기중심적인 시
각
을 유지하게 되지만 그럼으로써 정작 중요한 사회생활은 더 못하게 되고 결국 그토록 싫어하는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어떤 상황에서의 불확실성이 싫어서 이를 피하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신호 경로의 힘은 동물 행동 실험에서 잘 드러난다. 출산 직후 새끼와 떨어져 체취를
각
인하지 못한 양은 나중에 새끼가 와도 알아보지 못해 젖을 물리지 않는다. 이때 어미 양에게 옥시토신을 투여하면 새끼로 받아들여 수유를 시작한다. 여성 또는 일부일처제 동물의 암컷이 보이는 짝에 대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멸종위기 코끼리 살리는 '산림인증제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0
설치하고 포유류 55종을 담은 130만 장의 사진을 촬영했다.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각
벌목지의 포유류 출현율을 계산하고 포유류 종을 체질량에 따라 다섯 등급으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FSC 인증을 받은 벌목지는 비인증 벌목지보다 포유류 출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SC 비인증 벌목지는 FSC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6
위한 새로운 기술 '베이스히트(BASEHIT)'를 개발하고 검증했다. 이전까지 밝혀지지 않은
각
마이크로바이옴과 세포 간의 연결고리를 확인하기 위해 방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인간의 체내에서 서식하는 519개의 박테리아 균주와 3324개의 인간 단백질 사이에서 벌어지는 170만개 이상의 잠재적 상호 작용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사지에서 감
각
을 인식하는 환상통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환상통이 뇌의 문제라 생
각
했으니 시대를 앞서간 착상이라 할 수 있다. 파레가 전쟁터는 물론 궁전에서 군인들과 왕족을 치료했지만 정규 교육을 받은 (내과)의사들중에는 파레는 무시하는 이들도 있었다. 그러나 파레가 평생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티마레타, 헬리코니우스 사이드노 3종의 나비가 구애 활동을 할때 발현되는
각
유전자를 잘라 분석하면서 행동의 변화를 관찰했다. 유전자의 개체군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전자가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살폈다. 분석 결과 짝짓기 상대로 붉은색 날개 패턴을 선호하는 멜포메네와 티마레타는 선명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
2024.03.23
시킨 후 지금 연인이 많이 긴장하고 힘들어하고 있다는 정보를 준다. 그러고 나서
각각
의 애착형태를 크게 보이는 사람들이 상대방을 어떻게 보살피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안정 애착인 사람들은 안정애착을 형성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연인에게 따듯한 말을 해주는 정서적 지지와 함께 ... ...
[표지로 읽는 과학] '행성 포식자' 흔하다…지구의 운명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3.23
불안정하고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 별 생성 초기에 행성 포식이 자주 일어난다고 생
각
했지만 지금 태양처럼 안정적인 별의 생애주기에서도 행성 포식이 자주 있는 일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태양계는 평화로운 편"이라고 덧붙였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