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tip"(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진관] 눈가에 드리운 다크서클, 인생이 뭐 길래, 사는게 뭐길래동아사이언스 l2018.05.15
- 일치인지 이 사진은 마치 췌장 섬세포로 서울 지도를 그린 것처럼 보인다. 작가의TIP DMSO는 유기물로 이뤄져 다른 물질들을 잘 녹인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작품 둘러보기 #만남 #이제나를봐요 #사랑의묘약 #폭풍우치는밤 #눈속에흐르는강 #과거로부터온메시지 #약한자의슬픔 ... ...
- [과학사진관] 부분은 전체를 구성하고, 표상으로 나타나는 전체는 결국 그것을 구성하는 부분을 대변한다.동아사이언스 l2018.05.09
- 보여주는 자연의 모습은 생명이 만들어낸 정수를 보여주고 있지 않은가. 작가의TIP 공초점 현미경이란? 레이저와 컴퓨터를 광학현미경에 접속시킨 것으로 세포, 조직, 세포소기관이나 분자에 초점을 맞춰 시료에서 발생한 형광, 반사광 및 투사광을 화소(pixel) 단위의 이미지로 만드는 방식의 ... ...
- [과학사진관] 난 G-dragon. 남들이 뭐라 건동아사이언스 l2018.05.06
- 운동감이 느껴진다. Z-드래곤이라는 재치 있는 제목도 눈여겨 볼 만하다. 작가의 TIP 형광단백질? 해파리에서 유래한 녹색 빛의 단백질은 강력한 형광색 빛을 낸다. 추적하고자 하는 물질에 부착하면 움직임과 위치, 성장과정 등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레이저와 ... ...
- [5월 황금연휴]과학덕후를 위한 서울 나들이, 사이(sci)비게이션으로 알차게 동아사이언스 l2018.05.04
- 4만 원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galdar.kr/Bookshop/view/585336)에서 확인할 수 있다. TIP. 조금 더 다양한 경험을 원한다면? 조금 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기고 싶다면 한남동 블루스퀘어 건물에 있는 ‘북파크’가 있다. 2층과 3층에 걸쳐 인문, 사회, 과학 등의 서적을 모아놓은 서점이다. ... ...
- [과학사진관] 눈을 제대로 떠보면 온 세상이 화원이란 걸 알 수 있어동아사이언스 l2018.05.03
- 분포를 조사하고, 신경 질환들과 관련된 연결망 특성에 대해 유추할 수 있다. 작가의 TIP 엠그래스프(mGRASP)란? 뇌의 정원사는 대상과 가까운 시각으로 본다. 그래서 미세한 세포와 세포 사이의 연결(시냅스)까지 추적할 수 있다. 여기에는 영상장비보다는 생물학적인 방법을 이용한다. 대표적인 ... ...
- [과학사진관] 혈관의 라즈베리 농장동아사이언스 l2018.05.01
- 있다. 강렬한 붉은색과 푸른색의 대비가 화면을 역동적으로 구성한다. 작가의 TIP 지방이라고 다 같은 지방이 아니다. 종류에 따라 역할이 다르기 때문이다. 백색지방은 흔히 '지방'하면 떠올리는 것으로, 흰빛을 띄고 과다하게 쌓이면 비만을 초래한다. 왼쪽부터 백색지방, ... ...
- [과학사진관] 난 수수께끼, 뭐게요, 맞춰봐요동아사이언스 l2018.04.30
- 하고 바다 속 가시성게처럼 보인다. 묘한 긴장감이 느껴지는 이미지다. 작가의 TIP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이란? 전자현미경 안에서 전자빔을 관찰대상에 쏴 확대된 영상을 표시하거나 물질의 형태나 구성 원소, 정량, 구조의 단면 등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장비이다. ... ...
- [과학사진관] 너와 함께한 모든 시간이 눈부셨다동아사이언스 l2018.04.24
- 입체감을 더하고 있다. 신비로운 푸른빛이 알 수 없는 오싹함을 선사한다. 작가의 TIP 애기장대? 사진은 꽃잎과 꽃받침 등이 떨어진 애기장대의 사진. 애기장대는 생장 주기가 4~6주로 짧아 식물 실험에 많이 활용된다. 실험실 속 애기장대 실험 모델로 사용하는 동물이나 식물은 연구의 ... ...
- [과학사진관] 낙엽 타는 밤마다 죽음이 향기로운 가을동아사이언스 l2018.04.23
- 나타났다 사라지는 뉴런의 모습이 가을바람에 흩날리는 잎새를 연상시킨다. 작가의 TIP 제브라피시? 푸른색과 흰색 줄무늬를 가지고 있는 제브라피시는 생의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존재다. 사진 속 제브라피시의 이름은 뽈뽀리. 실험을 위해 태어났던 다른 형제들은 운명을 달리했지만 홀로 ... ...
- [과학사진관] 나는 믿어요. 지금 흘리는 눈물방울마다 새 꽃이 피어날 것을동아사이언스 l2018.04.20
- 하얗게 백화(白化)되어 죽어가는 어린잎의 모습이 마치 한 방울의 눈물 같다. 작가의 TIP 칼슘에 대해서 식물은 칼슘을 스스로 합성할 수 없다. 뿌리를 통해 칼슘을 흡수하고 식물 세포에 골고루 전달해야 한다. 사진의 식물은 칼슘 수송에 관여하는 채널이 망가졌다. ▶[과학사진관]의 다른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