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ooth
뉴스
"
투스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컷에게 잘 보이려고"…1억1천만년전 공작새 닮은 공룡살았다
연합뉴스
l
2020.12.15
우비라자라가 근육을 활용해 갈기를 움직였을 것으로 예측했다. 우비라자라 주바
투스
는 백악기 시대인 약 1억1천만 년 전에 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박물관 내 두 개의 석판 위에서 시료를 발견했고, 엑스레이를 활용해 골격과 세포 조직 등 특성을 확인했다.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국내 공동연구진은 황반변성(안구질환)과 리소좀축적증(중추신경장애), 샤르코마리
투스
병(근육위축병) 같은 각종 난치성 유전병에 대한 유전자 교정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사람들이 이야기를 꺼내기 전까지는 노벨상에 대해선 가급적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나의 연구 ... ...
헬릭스미스 "미국에서 엔젠시스 대규모 생산기반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등의 작용을 유도한다.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샤르코마리
투스
병, 당뇨병성 허혈성 족부궤양 등 6개 질환에 대해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통증성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허혈성 족부궤양은 현재 미국에서 임상3상이 진행되고 있다. ... ...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 "임상3상 착수한 엔젠시스 꼭 효능 입증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9.25
임상이 계획돼 있다.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이 손상돼 보행장애가 발생하는 샤르코마리
투스
병은 국내에서 이달 임상1상이 시작됐다. 그 외에 당뇨병성 허혈성 족부궤양이 미국에서 3상을, 다리를 저는 파행증이 미국에서 2상이 진행 중이다. 급성심근경색 등에 대해서도 2상이 검토되고 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추정했다. ●현존 최강 울트라블랙 소재, ‘반타블랙’ (반사율 0.045%) ① 마라
투스
카리에(Maratus karrie) 수컷은 공작과 닮아 공작 거미라고 불린다. 몸의 일부분에 발현된 울트라블랙은 반사율이 약 0.35%다. ② 극락조는 교미에 유리하도록 몸에 알록달록한 색을 발현시켰다. 종별 또는 부위별로 0 ... ...
모더나 백신 6만~7만 원 수준으로 결정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RNA를 감싸는 지질막 제조 기술이 최근 미국 생명공학기업 아부
투스
의 특허를 침해했다는 논란이 벌어져 가격을 낮추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다. 하지만 미국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와 공동으로 개발하는 만큼 공중보건을 위해 가격을 낮춰야 한다는 요구도 ... ...
코로나19 백신 등장 앞두고 공급 방식·가격 갈등 씨앗으로 부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감싼 뒤 주입하는 경우가 많고 모더나 역시 이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기술이 아부
투스
가 갖고 있는 특허를 침해했을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모더나의 주가는 하루 만에 10% 폭락했다. 모더나는 이 특허가 불명확한 개념만 다루고 있어 모더나가 침해하지 않았다고 이의를 제기했지만,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간에서 생존 에너지 얻는 미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네이처 15일자(현지시간)에 공개했다. 연구진은 배양에 성공한 박테리아에 ‘캔디다
투스
망가니트로퍼스 노둘리포만스(Candidatus Manganitrophus noduliformans)’와 ‘램리박터 리토트로피커스(Ramlibacter lithotrophicu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들은 망간의 독립 영양 생물로 망간 단괴와 함께 자라는 것으로 ... ...
[영상+]땅굴 파고 자원 찾는 두더지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드릴링부는 이빨로 토양을 긁어내는 두더지종 중 하나인 ‘치젤
투스
’를 모방했다. 치젤
투스
는 머리의 높은 자유도를 이용해 몸체보다 큰 굴을 뚫는다. 이를 모방해 개발한 드릴비트는 굴착 때 커지며 넓은 면적을 파낸다. 로봇의 크기보다 2.7배 정도 큰 굴을 파낼 수 있다. 잔해 제거는 크고 강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근대 해부학의 시대를 연 사람이 바로 두 번째로 소개할 사람이다. 그의 이름은 세르베
투스
와 함께 프랑스 파리대학에서 동문수학했던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1514~1564)이다. 베살리우스는 벨기에 출신으로 그의 가문은 대대로 의사집안이었다. 1533년 파리대학에 입학했는데 당시로서는 드물게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