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정자
뉴스
"
조절자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110년 신비 '핵 얼룩'의 재발견, 암세포 아킬레스건 될까
연합뉴스
l
2021.04.06
발표했다. 논문의 수석저자를 맡은 버거 교수는 "핵 얼룩이 유전자 발현의 핵심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게 확인됐다"라면서 "이는 암에 대해서도 어떤 역할을 한다는 걸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림프절에서 항산화 코팅을 받는 흑색종 세포 이미지. 이렇게 '지방 코팅'을 거친 암세포는 산화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키워드 'RNA'는 어떤 물질인가
2021.02.09
완성품이 제작된다. 다양한 RNA의 종류. IBS 제공 RNA의 다양한 능력은 ‘생명현상의
조절자
’라고 요약할 수 있다. 현재 DNA와 단백질이 담당하는 기능이 RNA에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생명의 기원이 되는 지구 역사상 첫 유전물질이 DNA보다 RNA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는 과학자들도 많다. ... ...
열대 태평양 강수량 증가 규명 예상욱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열대 지역의 워커 순환과 해들리 순환이 그 지역 강수량 구조의 세부적 변화를 결정하는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며 “이를 통해 전 지구의 물 순환과 이상 기상 및 기후 변동의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수질에서는 mTECs에 의해서 다시 자기 펩타이드에 노출된다. 이 세포는 자가 면역
조절자
(AutoImmune REgulator, Aire)와 아연 집게 전사 인자(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 Fezf2)을 발현한다. AIRE는 21번 염색체 긴 팔에 위치(21q22.3)한 유전자가 지시하는데, 체내의 건강하고 정상적인 단백질을 다시 T 세포에 ... ...
세포가 에너지 만드는 ‘오토파지’
조절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8
유성운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오른쪽)와 논문 제1저자인 안현규 박사과정 연구원. DGIST 제공. 세포의 ‘자가포식’으로 불리는 ‘오토파지’는 세포 내부 오래된 단백질이나 세포 소기관을 분해해 새로운 영양소로 재활용하는 현상이다. 오토파지는 해로운 단백질을 제거해 인체 내 세포 생존 ... ...
극지연구소, 독일 등과 사상 최대 북극 공동연구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현장실험을 하게 해준다. 북극해빙은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에너지를 반사하는 ‘기온
조절자
’로 불린다. 기후변화와 생태계 변화에 큰영향을 미친다. 인공위성 관측이 시작된 197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해가 뜨지 않는 겨울에는 추위와 두꺼운 해빙 때문에 현장 접근이 어렵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산소 감지하는 세포 '분자스위치' 암 치료 새 장 열다
2019.10.08
누가 예상이나 했겠는가. 스웨덴 이름의 희귀 유전질환 폰히펠린다우의 유전자가 HIF의
조절자
란 것을. 혼자 골방에서 연구했다면, 또 결과를 정해놓고 연구했다면 도저히 밝혀내지 못했을 일이다. 서멘자 교수의 연구실 앞에는 다음과 같은 아인슈타인의 명언이 붙어 있다. “우리가 하고 있는 ... ...
간에도 신경계가?...알코올성 지방간 치료법 패러다임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선행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엔도카나비노이드 생성을 유발하는 상위
조절자
로 글루타메이트와 수용체의 역할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8주 동안 알코올을 섭취한 생쥐의 간에서는 글루타메이트 분비를 돕는 글루타메이트 역수송체 단백질이 알코올을 섭취하지 않은 ... ...
류마티스관절염 악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결과 증상이 나빠졌다. 연구팀은 이런 현상의 이유로 태반성장인자가 인터루킨17의 상위
조절자
임을 들었다. 인터루킨17은 병원체에 대한 숙주방어 또는 이상 면역반응 유도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염증성 당단백질이다. 류마티스 관절염과 다발성 경화증 환자에서 인터루킨17을 만드는 림프구가 ... ...
병원균 단백질 구조만 바꿨을 뿐인데…내성·독성 없는 항생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대한 내성균이 생기기 쉽지 않다는 얘기다. 연구를 이끈 브라이스 펠든 렌느1대 세균
조절자
RNA의학연구소장은 "인체에는 독성이 없고, 세균에게만 항생효과가 뛰어난 새로운 항생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임상시험 1상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