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뉴스
"
조금
"(으)로 총 3,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에서 깨는 뇌, 앞쪽부터 차례대로 활성화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8
실험 결과 참가자들이 어떤 수면 단계에서 깨어나는지에 따라 뇌의 활성화 양상이
조금
달랐다. 수면의 단계는 상대적으로 뇌가 활발해 보통 꿈을 꾸는 단계인 렘(REM)수면과 몸을 회복하는 데 도움돼 깊은 잠으로 묘사되는 비렘수면(NREM)으로 나뉜다. 렘수면 중에 깨어난 경우 뇌의 고주파수 활동이 ... ...
공공과기노조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서 출연연 혁신 구체적으로 토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공공과기노조는 "공공연구 개발 분야의 핵심 주체인 출연연 혁신에 대한 계획은
조금
더 구체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국정기획위원회가 밝히고 있는 안정적인 예산 지원과 임무 중심의 대형 과제 수행, 우수한 인력의 확보와 유지를 위한 사기진작 방안 등 출연연에 대한 근본적인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포배'라는 구조를 형성합니다. 포배는 속이 빈 구 모양의 구조입니다. 바람이
조금
덜 찬 풍선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거예요. 제노투르벨라 보키의 정자 분비선을 면역조직화학염색 기술을 활용해 촬영한 결과물. 면역조직화학염색 기술은 세포 조직에서 특정 세포 소기관을 염색해 그 분포를 ... ...
올 여름 지구 자전 빨라져 하루 시간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오랜 기간 동안 자전 속도가 느려지는 추세였지만 과학자들은 2020년 이후 지구 자전이
조금
씩 빨라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기록된 가장 자전이 빠른 날은 지난해 7월 5일로, 평균보다 1.66밀리초 짧았다. 지구 자전 속도는 계절별 ... ...
황정아 "삭감된 R&D 예산 반드시 복원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법안 통과 등 현실적으로 결과를 내기 위해서는 상대방과 의견을 조율하고 서로
조금
씩 양보하는 합의의 과정에 도달해야 하더라"며 "협치에 대해 배우는 중이다"고 담담히 말했다. 황 의원은 최근 우주항공청(우주청) 연구개발본부를 대전에 신설하는 '우주항공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일부 ... ...
[헬스토크] "IQ 70도 행복할 수 있다"…'경계선지능' 아이에 필요한 건 '기다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말한다. 경계선지능은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가 지적장애(70 이하) 진단 기준보다
조금
더 높은 ‘70~85’로 측정되는 경우를 일컫는다. ‘장애’로 평가하는 단계는 아니다. 최근 경계선지능 진단을 위해 IQ 뿐 아니라 보다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지적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
과학동아
l
2025.07.05
걸 기내 방송으로 예고하면 부상자를 훨씬 줄일 수 있거든요. 조종사들이 난기류를
조금
이라도 먼저 인지하도록 교육을 개설해야 합니다." 터뷸런스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개개인이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김인규 비행교육원장은 “안전벨트만 착용해도 부상은 발생하지 ... ...
李 대통령 "의정갈등 해결 가장 자신없어...불신이 가장 큰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자신없는 현안이 '의료 사태'였다"면서도 "정부가 바뀌면서 의료진의 정부에 대한 불신이
조금
완화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전 정부의 억지스러운 정책, 납득하기 어려운 일방적 강행이 국가적 손실을 키웠다"며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은 '불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앞으로 적절한 ... ...
빛 적응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 모방한 로봇 눈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환한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면 처음에는 앞이 잘 안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
씩 보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현상을 ‘암순응’이라고 한다. 인간의 암순응을 모방한 로봇 눈이 개발됐다. 윤 예 중국 푸저우대 물리정보공학대학 연구원 연구팀은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해 사람의 눈을 ... ...
신장 7배 커진 환자 신장 제거·이식 로봇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통해 이뤄졌다. 의료진은 복부에 낸 작은 구멍으로 로봇팔을 삽입해 기존 신장을
조금
씩 떼어냈다. 잘못 움직이면 주변 장기와 혈관에 손상을 입힐 수 있지만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 수술로 좁은 공간에서 주변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며 수술했다. 의료진은 신장 양쪽을 모두 제거한 뒤 신장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