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돌
조약돌
돌멩이
쇄석
작은 돌
조개 껍데기
돌
뉴스
"
자갈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래에서 물이 나온다...샌드댐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3
최초로 '바이패스' 형 샌드댐을 시공했다. 바이패스 방식은 하천 옆 바닥이나 변두리의
자갈
, 모래층에 함유된 물(복류수)을 간접 취수하는 방식이다. 빠르게 흐르는 계곡을 직접 막을 경우 댐 유실 같은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간접 취수 방식을 적용했다. 샌드댐 건설이 건설되자 평균 일 15 ... ...
소행성 베누 '볼풀' 같아 시료채취 우주선 하마터면 파묻힐 뻔
연합뉴스
l
2022.07.11
시료를 채취한 곳인 '나이팅게일'(Nightingale)의 시료 채취 전과 후의 사진을 통해 흩어진
자갈
의 양을 측정했다. 이와함께 우주선이 표면에 착지할 때 수집된 가속 자료를 분석해 커피를 거르는 '프렌치프레스'의 여과기를 누를 때 느끼는 것과 같은 아주 작은 저항만 유발한 것을 확인했다.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운용에 들어가기도 전에 유성체와 충돌… 주거울 조정해 성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예상된 것이다. 태양계 내에는 모래 알갱이보다 작은 수많은 미소 유성체들이 존재한다.
자갈
이나 돌, 바위 크기도 있으나 매우 드문 만큼 NASA는 시뮬레이션과 지상 테스트를 거쳐 보통의 미소 유성체와 충격하면 제임스웹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소 유성체와 충돌했을 때 외부 ... ...
싱가포르, 노동력 부족에 로봇 도입 가속
연합뉴스
l
2022.05.30
개몬의 공사 현장에선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가 만든 사족보행로봇 '스폿(Spot)'이 진흙과
자갈
부분의 공사 진행 상황을 체크했다고 통신은 소개했다. 이 기업의 마이클 오코넬 전무는 스폿을 사용해보니 이전에 2명이 했던 일을 1명이 할 수 있었다면서 현장 인력 부족을 로봇 등 자동화 기기로 ... ...
[지구는 살아있다]강 따라 흐른 용암의 자취를 찾아서
2022.05.21
마모되어 있어서, 이전에 하천의 바닥을 굴러다니며 쌓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자갈
층이 현무암으로 덮여 있다는 것은, 용암이 하천 계곡을 따라 흐르다 굳었다는 의미입니다. 지질학자들은 이렇게 여러 지역의 증거들을 토대로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추측합니다. 한탄강 ... ...
메타는 왜 '친환경 콘크리트' 배합 AI를 개발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5.09
다소 엉뚱한 분야인 건설 기술에 투자한 배경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콘크리트는
자갈
과 모래 등 골재에 시멘트와 물을 섞어 강도를 높인 건설용 재료다. 콘크리트에 철근이나 철골을 섞으면 강도가 더해져 축구장 같은 대형 경기장부터 수백m 높이의 초고층 빌딩까지 규모가 큰 건물을 지을 ... ...
과기정통부는 왜 해외도, 대통령도 주목한 첫 소행성 탐사를 외면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5.03
오시리스-렉스는 2016년 발사돼 2020년 10월 지구에서 3억 km 떨어진 소행성 ‘베누’에서
자갈
을 채취해 지구로 돌아오고 있다. 2016년만 해도 아포피스를 탐사한다는 계획은 없었지만 빠르게 임무를 수정한 것이다. 일각에선 아포피스 사업이 예타 조사대상에서 탈락한데는 탐사선 발사 목표 ... ...
[올림픽 과학상식] 올림픽 경기에 사용하는 눈과 얼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2
줄여야 한다는 것과 아주 평평한 얼음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높이 1~2mm 너비 3~10mm의 얼음
자갈
을 표면에 던졌을 때 미끄러질 때까지 약 2.5cm 칼날로 얼음을 긁어내야 한다. 피겨 스케이팅의 얼음 온도는 영하 3도에서 영하 2도 정도로 스피드 스케이팅이나 컬링보다 살짝 높다. 선수가 스케이트날로 ... ...
[지구는 살아있다]북아메리카가 얼어붙은 시절이 있었다
2022.01.15
빙하기는 언제 시작되었을까 빙하가 녹은 곳에 쌓인 빙하 퇴적물. 거대한 바위부터
자갈
, 흙까지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쌓인다. 우원식 제공 . 지구의 오랜 역사 동안 기후는 계속 변하고 있습니다. 공룡이 살던 중생대 지구는 지금보다 훨씬 따뜻해서 남극과 북극에 빙하가 없었습니다. 반대로 ... ...
'승리호' 출동해야 하나…우주쓰레기 9천600t 떠다닌다
연합뉴스
l
2021.11.17
파괴할 수 있는 소프트볼보다 큰 것은 2만 6천 개가 넘는다. 우주선을 훼손할 수 있는
자갈
크기 이상은 50만 개가 넘고 우주복에 구멍을 낼 수 있는 모래 알갱이 굵기는 1억 개가 넘는다. 우주물체 추적 서비스 레오랩(LeoLabs)에 따르면 러시아의 위성요격 실험으로 발생한 1천500개 이상의 우주쓰레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