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리
인륜
도덕
가치 체계
윤리신학
신학
윤리강령
뉴스
"
윤리
"(으)로 총 1,0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한국연구재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국제협력총괄실장 정진영 △혁신성장실장 이상혁 △인사운영실장 차소영 △연구
윤리
지원센터장 구자필 △정보화관리실장 이종원 ▽전보 △기초연구총괄실장 황구연 △국가전략사업총괄실장 한동성 △국가전략사업평가실장 박춘경 △대학교육실장 최동명 △국제지역협력실장 전호석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장관, 출연연 기관장 간담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세부 지표를 개발해 담았다. DE&I를 실천하는 주요 기업과 기관 사례로 인공지능(AI) 기술
윤리
적 기준을 수립한 카카오, '다양성·포용성 선언문'을 발표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을 꼽았다. ■ 이해민 조국혁신당 국회의원과 임문영 더불어민주당 디지털특별위원장이 초당적 협력을 통해 ... ...
[인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심원보 △안전보건실장 한만호 △시설자산실장 임길빈 △행정지원실장 함태식 △
윤리
경영실장 이종설 △부산울산경남지원장 서성호 △대구경북지원장 이동원 △호남지원장 박형욱 △충청지원장 이윤석 △수도권지원장 이준우 △인재경영팀장 ... ...
[이덕환의 과학세상] 中 딥시크, 미국의 규제가 낳은 '아이러니'
2025.02.12
하고 개인정보의 보호도 게을리할 수 없다. 무엇보다도 연구개발 과정에서의 연구
윤리
를 엄격하게 준수하는 노력은 절대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제2의 황우석 사태도 경계해야 한다. ※필자 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 ...
출연연 운영규정에 PBS 개편안 담길까…정부, 기술사업화 전략 3월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운영규정을 제정한다. 출연연의 조직과 예산, 인사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투명하고
윤리
적인 경영을 정착하겠다는 목표다. 과기정통부는 운영규정을 행정예고하고 규제 심사를 거쳐 이달 말 시행할 계획이다. 운영 규정에 연구과제중심제도(PBS) 개편안이 담길지 주목된다. PBS는 출연연 ... ...
구글도 투자한 美 유망 유전체 분석기업이 몰락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분석했다. 23앤드미의 DNA 검사키트가 일회성이라는 게 한계로 지적됐다. 생명
윤리
학자인 행크 그릴리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한번 검사키트를 사용해본 사람은 다시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23앤드미는 조상을 찾는 유전자 혈통 검사키트를 제공한다. 한번 이를 사용해본 ... ...
[인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한국원자력연구원 ▽부장 △이정한 기기안전진단연구부장 △구서룡 선진계측제어연구부장 △고광훈 양자광학연구부장 △권혁 경수 ... 방사성폐기물처분실장 △전재언 품질보증실장 △이민호 품질검사실장 △문형철
윤리
팀장 △윤재하 인사관리팀장 △정철은 기업지원팀장 △임기환 ... ...
[인사]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안창인 △재정전략팀장 서영민 △의정지원팀장 백한영 △인사교육팀장 성효신 △
윤리
문화팀장 최희자 △총무회계팀장 김현태 △홍보팀장 안미영 △감사기획총괄팀장 김진휘 △시설·보안관리단 감사팀장 김원중 △공직기강팀장 ... ...
'아빠만 둘'인 생쥐, 처음으로 성체까지 자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사용을 불허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동성 간의 생물학적 아이를 가질 수 있게 되면
윤리
적·사회적 논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은 각인 유전자를 수정해 발달 잠재력을 개선한 배아를 만드는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또 쥐보다 큰 원숭이를 포함한 더 큰 동물로 연구를 확장하는 것이 ... ...
우리가 몰랐던 난자와 정자의 창조적 팀플레이
2025.01.25
의견도 있다. 난자는 정자에 비해 연구를 위해 쓸 수 있는 수도 매우 적고 채취 과정의
윤리
적 문제도 있다. 또 예로부터 수동적 존재라는 난자의 이미지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축소시키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엔 난임 기술 개발을 위해 '난자' 자체에 집중하는 연구가 상당히 많아지고 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