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위스키"(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 [H의 맥주생활 (13)] 수제맥주 왜 이렇게 비싼가요?2016.12.16
- 각종 재료를 넣고 오크통에 숙성까지 시킨 수입 수제맥주는 카스의 40~50배 가격이다. ‘위스키도, 와인도 아니고 그깟 맥주 몇 병인데’라는 생각에 수제맥주로 주량을 꽉 채우다 보면 어느덧 그동안의 소맥 생활과는 확연히 다른 통장 잔고를 목도하게 된다. 이래서 ‘맥덕(맥주덕후)의 신종 알바는 ... ...
- [H의 맥주생활 (9)] 찬바람 불 땐 이 맥주2016.11.18
- 꼬릿한 복어 꼬리를 넣은 뜨뜻한 사케 한잔이지. 아니 분위기 있게 바에 가서 싱글몰트 위스키 한잔을 홀짝여 볼까. 야경이 내려다보이는 스카이라운지에 앉아 달콤 쌉싸름한 블랙러시안 칵테일을 마셔도 좋겠다. 이 계절에 맥주를 마신다면? 맥주를 상상하니 갑자기 냉기가 돌면서 닭살이 생긴다. ... ...
- H의 맥주생활 병나발 이제 안녕2016.10.07
- 특유의 강하고 풍부한 맛과 향을 잘 느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수가 높을수록 와인이나 위스키를 먹는 것처럼 상온에 가깝게 먹으면 된다. 온도를 재 가며 마실 수는 없는 노릇. 냉장고 냉장실이 4℃ 정도라는 점을 고려해 실온에 10~15분 정도 내놓은 후 맥주를 개봉하면 되겠다. 크게 손해 볼 것 ... ...
- 땀 흘린 뒤 마신 시원한 맥주 맛을 잊을 수 없는 이유2016.08.16
- 필자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왜 그렇게 소주를 좋아하는지 잘 모르겠다. 와인이나 위스키처럼 다른 풍미가 섞여 있는 것도 아닌 그저 쓴 희석한 알코올뿐인데 말이다. 숱한 경험을 통해 적당히 취했을 때의 기분 좋은 상태를 예감하기 때문일까. 이런 필자조차 수십 년 전 술 한 모금을 마셨을 때 ... ...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구절이 나오는데, 술에 불이 붙을 정도면 알코올 도수가 꽤 높다는 뜻이고 따라서 소주나 위스키 같은 증류주라는 말이다. 적기(赤氣)의 실제 모습. 미국 텍사스주 서부에서 2013년 10월 29일 새벽 찍은 사진이다. 북위 32도 내외인 중저위도에서 이 정도 밝기의 오로라가 나타나는 건 매우 드문 ... ...
- 동양인이 서양인 보다 술이 약한 이유는?2015.12.27
- 과일을 발효해 만든 과실주 등에서 출발했고, 여기에 증류의 과정까지 거쳐서 나오는 위스키 등 더 독한 술로 발전했다. 이 책은 동양인이 서양인에 비해 술이 약한 이유도 설명한다. 주량은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ALDH1’, ‘ALDH2’가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와 비례하는데, 동아시아인의 ...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2014.12.15
- 된다는 약물을 직접 실험해보기 위해 친구들을 집으로 불러 갖고 있던 싱글몰트 스카치위스키를 풀어 진탕 마신 뒤 각자 종류별로 복용했는데 다음날 평소보다 훨씬 심한 숙취에 시달렸다고 한다. 이 술 저 술 엄청난 양을 마셨기 때문이다. 설사 숙취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약물이 있더라도 너무 ... ...
-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 어린이과학동아 l2013.08.12
- 있다. 물의 밀도를 1이라고 하면 알콜은 0.79, 얼음은 0.92 정도여서, 알콜이 50% 이상 들어간 위스키 같이 독한 술에 얼음을 넣으면, 술의 밀도가 얼음보다 낮아서 얼음이 바로 가라앉는다. 희한하고 신기한 얼음 얼음은 자연에서 그 자체로도 신기하고 희한한 모습을 만들어낸다. 공기 중 수증기가 ... ...
- 거품의 물리학동아사이언스 l2013.05.15
- 또는 ‘방울’이라고 이야기한다. ●거품은 꺼질 운명의 존재 드라마에서 소주나 위스키를 마시는 장면은 자연스러운데 맥주를 마실 때는 영 어색하다. 유리잔에 보리차를 담았는지 연갈색 액체 위에 거품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잔에 맥주를 막 따르면 거품 층이 꽤 두꺼운데 잡담을 나누다 잔을 ... ...
-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스승이 본 백성희 서울대 교수동아일보 l2013.04.30
- 아쉽다. 여기서 하나 꼭 언급해야 할 사실은, 백 교수가 국제학회에 다녀올 적마다 위스키가 들어 있는 초콜릿을 사다준다는 점이다. 앞서 내가 얘기한 기쁨과 자랑스러움 같은 감정이 모두 녹아들어 한마디로 꿀맛이다. 과학을 하는 모든 사람이 부러워할, 세계적인 연구를 하는 비결은 무엇일까? ... ...
이전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