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지
마부츠
Western
western
weston
뉴스
"
웨스턴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 씨앗' 단계까지 구현한 인공배아…윤리 논쟁 재점화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9.17
생명 윤리 논의가 필요하다고 12일 보도했다. 앞서 우준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
웨스턴
메디컬센터 교수 연구팀은 2021년 인간 배반포와 매우 유사한 인공배아 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6월 중국 베이징대에서도 화학 물질에 담가 보관할 필요 없는 배반포 모방체를 만들어 학계를 놀라게 했다. ... ...
코로나19 후유증 '브레인포그' 원인 밝힐까…뇌 감염 돕는 돌연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원인과 치료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드 훌트퀴스트 미국 노스
웨스턴
대 파인버그 의과대학 교수가 이끈 연구팀이 쥐 연구를 통해 뇌를 더 잘 감염시키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를 발견했다. 연구결과는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공개됐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
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취직해 10여 년을 다니다 1958년 32살의 늦은 나이에 미국으로 유학해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 생화학과 우드 교수 연구실에서 한 미생물의 특이한 발효 메커니즘 규명을 학위 주제로 받았다. 주인공은 학명이 무렐라 써모아세티카(Moorella thermoacetica. 이하 무렐라)인 호열성(40~65℃) 박테리아로 당 같은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있습니다. 물이 너무 줄어드는 바람에 지진이 일어난 겁니다. 2014년 콜린 아모스 미국
웨스턴
워싱턴대 지질학과 교수팀은 캘리포니아주 샌 호아킨 계곡의 지하수 고갈이 지반의 융기와 침강 반복을 일으켜 지진 활동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doi: 10. ... ...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외향적'…성격 프로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그루다 포르투갈 카톨리카 포르투게사대 경제 및 경영대학원 교수가 짐 맥클레스키 미국
웨스턴
거버너스대 강사와 함께 담배 또는 시가를 피우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성격 프로필을 분석해 비교하고 연구결과를 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공개했다. 흡연은 간접흡연 영향을 포함해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수명이 긴 단백질이 있다는 것은 매우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프란체스카 던컨 미국 노스
웨스턴
대 파인버그 의과대학 산부인과 교수팀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올해 1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에 공개했다. 연구팀이 7개월 된 생쥐의 난모세포를 분석한 결과 난모세포 단백질의 약 5%가 출생 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
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 ...
과기 유공자 김영걸 포스텍 명예교수 별세…美대학 종신직 마다하고 귀국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화학공학 학사과정을 마치고 1963년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노스
웨스턴
대 교수로 임용돼 정년보장을 받았다가 1974년 정부의 ‘재외과학자 유치사업’에 따라 귀국했다. 미국 대학의 종신직을 마다하고 한국으로 돌아온 첫 번째 재외과학자다. 한국에서 KAIST와 포스텍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
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6년간 생화학교수로 일한 후 2014년부터 의학교육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