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뉴스
"
액체
"(으)로 총 1,667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대량생산 기술 확보…화학연,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소면적 제조에는 적합하지만 대면적 태양광 모듈 생산에는 한계가 있다. 블레이드는
액체
소재를 기판에 떨어뜨린 후 날로 밀어서 얇게 펴는 방식이다. 슬롯다이는 금속을 통해 정해진 양의 용액을 기판 위에 균일하게 분사해 박막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번에 개발된 잉크젯 프린팅 방식은 ... ...
우주발사체
액체
엔진 개발, GIST 대학생들이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광주과학기술원(GIST) 본원에서 GIST 기계로봇공학과에 재학 중인 이창현 학생(가운데)이
액체
로켓 엔진 테스트베드 개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GIST 제공 ● 학교 구성원을 위한 기술 개발부터 창업까지 발사체나 AI 같은 기술 외에도 학교 구성원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서비스나 기술도 ... ...
4년 뒤 리튬 공급 부족 직면…'대안전지'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시켜 리튬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액체
전해질보다 에너지 밀도가 커져 더 적은 양의 리튬으로 더 큰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튬이 아닌 다른 자원을 활용한 배터리로는 나트륨이온 배터리가 유망하다. 해수 등에서 쉽게 확보할 수 ... ...
박남규 교수, 한국인 최초 日 'NIMS 어워드'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박 교수는 세계 최초로 고효율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기존
액체
전해질 방식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유기 소재 구조를 개발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안정성과 빛-전기 변한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올해 수상 주제는 '지속 가능한 사회로 이끄는 에너지 관련 ... ...
3D프린팅으로 우주발사체용 부품 제작…극저온 고압 조건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데 성공했다. 항우연은 극저온 시험을 주관해 만든 고압용기 내부를 영하 196℃의
액체
질소로 냉각한 뒤 330bar(바, 수소 압력 단위)의 입증 압력까지 단계적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내압 성능을 평가했다. 입증 압력은 일시적으로 가하는 시험용 압력을 가리킨다. 용기 표면에 부착된 변형률 ... ...
여름철 습기 영향 없이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태양전지를 제작할 수 있는 용액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용액 공정은
액체
상태의 재료를 기판 위에 코팅하거나 인쇄해 태양전지 소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재료를 잉크처럼 바르고 말리는 간단한 공정이다. 저비용으로 넓은 면적에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 ...
[과기원NOW] KAIST, 온도에 반응하는 전자잉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04
회로 인쇄가 가능하고 온도에 따라 딱딱함과 부드러움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액체
금속 전자잉크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잉크는 정밀한 인쇄가 가능한 물성과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갖췄다. 딱딱함과 부드러움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전자소자를 ... ...
배터리 용량 3배 '괴물전지' 탄생…전기항공기도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02
공기 중 습도를 이용해 이같은 한계를 극복했다. 높은 습도 환경에서는 부산물이 대부분
액체
로 생성돼 고체에 비해 제거하기 간편하다. 그 결과 연료전지의 에너지 생산 효율이 높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사히르 간티-아그라왈 MIT 박사과정생은 "나트륨-공기 전지를 만들 때 습도를 조절하는 ... ...
소재 간격 '밀당'으로 화재위험 적은 전고체 배터리 수명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30
사용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없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액체
처럼 전기가 잘 통하면서도 안전해 핵심 소재로 주목받는다. 황화물계 전고체배터리의 음극 소재인 실리콘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음극 소재인 흑연(C)보다 10배 이상 많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실리콘 ... ...
우나스텔라, 한반도서 자체개발 발사체 시험발사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5.29
1호기(UNA EXPRESS-I)’를 시험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케로신(등유)과
액체
산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우나 익스프레스 1호기는 시험 발사 목표인 비행거리 10km 달성에 성공한 뒤 고흥군 해상 안전 설정 구역으로 낙하했다. 우나 익스프레스 1호기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