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쪽
전면
전방
뉴스
"
앞면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첫 민간 달 착륙선 페레그린 실패 수순…"연착륙 가능성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달로 곧바로 보내진 아폴로 우주선과는 다른 방식이다. 계획대로라면 다음 달 달
앞면
에 있는 '폭풍의 바다' 동북쪽 용암지대인 시누스 비스코시타티스에 착륙해 월면에서 얼음을 찾는 임무 등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이번 착륙이 성공하면 세계 최초 민간 달 탐사선의 착륙 성공사례로 기록될 수 ... ...
미국 첫 민간 달 착륙선 '페레그린'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이번이 처음이다. 페레그린은 한 달 반 동안 우주공간을 비행하다가 다음 달 23일 달
앞면
에 있는 용암지대 '시누스 비스코시타티스'에 착륙한다. 만약 착륙이 성공하면 세계 최초의 민간 달 탐사선으로 기록된다. 앞서 지난해 4월 일본 우주기업 아이스페이스가 민간 달 착륙선 '하쿠토-R’의 ... ...
美 첫 민간 달 착륙선 '페레그린' 8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실제 비행에 활용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계획대로라면 페레그린은 내달 23일 달
앞면
시누스 비스코시타티스(Sinus Viscositatis) 지역에 착륙한다. 고대 용암이 흘렀던 곳으로 알려져 있어 '끈적한 만(灣)'이라는 별명이 붙은 지역이다. 이곳에서 페레그린은 방사선 수준, 달 표면과 지하의 물·얼음, ... ...
다누리 1주년 성과…달 전체지도‧우라늄 원소지도 초안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6
티코 크레이터 중심부 봉우리의 모습. 과기정통부 제공 다누리의 고해상도 카메라는 달
앞면
남반구에서 직경 85km의 충돌구 '티코 크레이터'를 촬영했다. 티코 크레이터는 육안으로 관측되는 가장 대표적인 충돌구다. 나이는 약 1억년으로 추정되며 충돌에 의한 방사상 흔적이 명확하다는 특징이 ... ...
[주말N수학]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l
2023.12.23
뒷면보다
앞면
이 더 자주 나오도록 하는 데 성공했으며 참가자 중 1명은 무려 68% 확률로
앞면
이 나타나게 할 수 있었다. 두 연구 결과 모두 동전을 던질 때 초기 조건만 알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로 동전 던지기가 무작위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 ...
극저온 분자 '양자 얽힘' 첫 구현...양자컴 상용화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본다. 동전 하나가 넘어지면서
앞면
이 나온다면 다른 동전도 동시에 넘어지면서 똑같이
앞면
이 나오는 식이다. 이같은 원리를 입자에 적용하면 입자 자체는 2개이거나 2개 이상이지만 이 둘의 상태는 하나다. 입자 하나는 달에, 다른 입자는 지구에 있어도 두 입자가 양자얽힘 상태를 유지하기만 ... ...
80년 만에 돌아온 ‘반닫이’ 책상…한국 최초 외과 전문의 소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9.04
인정받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 생활할 당시 ‘반닫이’ 책상을 사용했다. 반닫이는
앞면
반을 문으로 만들어 여닫는 형태의 목가구다. 러들로 박사는 이 책상에 애착이 있어 고향인 미국으로 가지고 돌아간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에 한국으로 되돌아온 이 반닫이는 화사한 문양이 특징인 ... ...
한국이 만든 '과학탑재체', 달 표면 고에너지 입자 탐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4
계획인 무인 달 착륙선 '노바-C(Nova-C)에 루셈을 탑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노바-C는 달
앞면
저위도 '라이너 감마' 지역에 착륙한다. 라이너 감마는 평평한 평면지대로, 상대적으로 착륙이 쉽고 지구와의 통신이 원활해 달착륙 임무를 수행하기에 유리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또 소규모 자기장이 ... ...
무서운 태풍 분석 가능해질까…'와류' 존재 수학적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포함된 3차원 유체의 흐름까지 계산할 수 있도록 했다. 구형 와류가 진행하는 방향의
앞면
에는 강하게 상승하는 기류가 존재한다. 태풍이나 토네이도에서 확인되는 기류다. 최 교수의 연구를 통해 상승기류의 잔류 시간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 교수는 “기상이변 등이 많아지는 ... ...
인류 최초 달 뒷면 탐사…중국 착륙선의 '눈과 팔' 만든 홍콩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6.09
5호' 모형은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했다. 성인 남성 키의 2배는 가뿐히 넘는 모형에는 달
앞면
'폭풍의 바다'라고 불리는 지역에서 1.7kg의 토양 샘플을 채취한 '로봇 팔'도 실물과 다름없이 구현돼 있었다. 중국의 무인화성착륙선 '톈원 1호'에 장착된 착륙감시카메라 모형이 심우주탐사연구센터에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