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뉴스
"
아래
"(으)로 총 3,975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헤드뱅잉하고 웨이브 타는 앵무새 ‘코카투’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적 없는 동작이었다고 설명했다. 코카투가 보인 가장 흔한 동작은 리듬에 맞춰 고개를
아래
위로 끄덕이는 것이다. 몇몇 코카투는 여러 동작을 독특하게 조합한 자신만의 춤을 만들기도 했다. 야생 동물원에서 추가 실험도 진행했다. 연구팀은 호주 와가와가 동물원에 있는 3종의 코카투 6마리를 ... ...
AI·인간 합작한 최강의 수중 접착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흘러도 고무 오리는 떨어지지 않았다. 다른 접착제인 'R2-max'로는 물로 채워진 3m 파이프
아래
뚫린 지름 20밀리미터의 구멍을 뚫고 틀어막았다. 5개월 이상 누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AI 기반의 초강력 수중 접착제는 의족이나 생체 센서 등 의학 바이오 분야와 심해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 ...
로봇 농게가 집게발 흔들자 진짜 농게가 '기싸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사는 수컷 아프리카농게(학명 Afruca tangeri) 집 근처에 설치하고 로봇 농게의 집게발을 위
아래
로 흔들며 카메라로 농게의 반응을 관찰했다. 로봇 농게는 수컷 농게의 굴에서 30cm 떨어진 곳에 설치됐다. 영국 엑서터대 연구팀이 만든 로봇 농게 '웨이비 데이브(Wavy Dave)'가 야생 수컷 농게 굴 근처에서 ... ...
높이 93.7m 인류 최대 지하공동 굴착…日 중성미자 검출기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중성미자 검출기가 보통 바다나 호수
아래
, 심지어 남극의 얼음
아래
에 대규모로 설치되는 이유다. 일본 중성미자 검출기 '슈퍼카미오칸데'는 초순수 물 5만t이 담긴 수조를 지하에 건설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사진은 물을 채우기 전 광검출기가 설치된 모습. Super-Kamiokande ... ...
[시민과학풀씨]④ 왕벚나무엔 어떤 해충이 살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8.03
찾았어요! 이것도 해충인가요?” 7월 19일 관악산 초입 숲길의 왕벚나무
아래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모였다. 봄철 흐드러졌던 꽃은 사라지고 푸른 잎만 남았지만 나무를 살펴보는 눈은 진지했다. 왕벚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을 찾기 위해서다. 지구사랑탐사대는 동아사이언스 과학 잡지 ... ...
러시아 규모 8.8 지진 쓰나미 예상보다 약했던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지진은 지구의 지각판 중 하나가 다른 지각판
아래
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섭입대를 따라 발생했다. 동일본 대지진도 섭입대에 발생한 지진으로 섭입대 지진의 규모가 클수록 쓰나미의 영향력도 강력해진다. 두 지각판이 만나는 곳의 깊이나 각도 등 세부 사항도 ... ...
수천겹 '전복 껍데기' 구조 모사한 유연·고강도 전자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층상 구조보다 훨씬 복합적인 '프랑크-카스퍼 상(Frank-Kasper phase)'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아래
). 포스텍 제공 연구팀은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두 고분자를 하나로 연결한 '블록 공중합체(copolymer)'라는 소재를 활용했다. 여기에 양전하(+)와 음전하(-)를 동시에 가진 '양쪽성 이온(zwitterion)'을 더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6
색채로 그려진 이미지를 담았다. ‘미생물 지도 완성(MICROBES MAPPED)’이라는 굵은 제목
아래
고대 DNA로 추적한 병원체의 확산 경로가 표현됐다. 전염병은 수천 년 전 인류에게 치명적인 위협이었다. 당시 세균과 바이러스는 인간의 뼈와 치아에 유전적 흔적을 남겼고 현대 과학은 이를 DNA 분석을 ... ...
'노래하는 새' 명금류, 미적 감각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노래하는 새'라는 뜻의 명금류(鳴禽類) 중 일부는 밝은 깃털
아래
에 숨겨진 검정 또는 흰색 띠를 활용해 깃털 색을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잘린 프라이스월드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팀은 명금류가 새의 깃털 색채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 ...
2억4700만년 전 볏 달린 파충류 확인…"'깃털 공룡' 존재 뒷받침"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슈투트가르트 자연사 박물관에 소장된 미라사우라 그라우보겔리의 화석. 두개골(오른쪽
아래
)을 포함한 골격과 등의 볏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Stephan Spiekman 제공 깃털과 털은 척추동물 피부 바깥쪽에 있는 복잡한 구조의 부속물이다. 보통 비행을 돕거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데도 기여하며 체온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