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뉴스
"
실험실
"(으)로 총 1,694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일 연방정보국 "코로나19, 中
실험실
유출 가능성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실험실
에서 기원했다는 논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독일의 정보기관이 ... 있다”고 덧붙였다. WHO는 앞서 중국 전문가들과 공동 팀을 꾸려 우한 현장을 방문하고 “
실험실
유출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 ...
원자 1개 두께의 2차원 금속판 단조하는 '나노 대장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그래핀이 등장한 이후 수천 개의 2D 물질이 이론적으로 예측되고 수백 개의 2D 물질이
실험실
에서 만들어졌다. 과학자들은 순수한 금속이 얇게 펴진 2D 금속판도 구현하려고 했지만 기술적 한계에 부딪쳤다. 문동훈 서울대 재료공학부 연구원은 "금속 원자들은 서로 뭉치려고 하는 힘이 강하다"며 ... ...
정자 운동성 높은 남성이 수명도 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Human Reproduction)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965년부터 2015년 사이 코펜하겐 공공 정액 분석
실험실
에서 불임 검사를 받은 7만 8284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런 뒤 덴마크 국립 보건서비스에서 수집한 국가 의료 기록과 비교해 정자의 질과 수명을 비교했다. 정액 1ml당 운동성 있는 정자 수가 500만 개 ... ...
숲과나눔, '시민과학풀씨' 4기 연구자 모집
동아사이언스
l
2025.03.04
함께 진행하고 있는 '시민과학풀씨' 사업은 그동안 젊은 연구자들이 연구실,
실험실
을 넘어 현장 속에서 시민과 함께 호흡하면서 시민과학 분야 학자로 성장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시민과학 분야에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시민과학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첨벙대고 회전하고…먹이 신호에 신난 거북
동아사이언스
l
2025.03.01
설계했다. 연구팀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해변에서 부화한 어린 붉은바다거북을
실험실
에 데려가 2개의 수조에서 생활하도록 했다. 2개의 수조에는 각기 다른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만들었으며 한 곳의 수조에서만 먹이를 줬다. 이를 통해 어린 거북이들은 먹이를 주는 공간과 주지 않는 ... ...
새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등장…"인체 감염 가능성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2의 감염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며 실제 인간에게서 감염 사례를 발견한 것은 아니다.
실험실
환경에서 발견됐다는 것은 세포 수준 연구에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의미다. 세포주나 오가노이드 등을 이용한 세포 수준 연구는 동물 실험 연구의 전 단계에 해당하는 연구다. 동물과 ... ...
우크라이나 전쟁 3년…난리통에도 연구 보조금 끊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5.02.22
그곳에서 학사 및 석사를 우등 졸업했다. 박사 졸업 이후에는 스위스 취리히대에서
실험실
동물의 뇌 활동과 행동을 연구했다. 이후 우크라이나로 돌아온 그는 우크라이나 국립연구재단으로부터 지원금을 받아 수면 장애 치료를 위한 분자 표적을 연구하고 있다. 중추 신경계의 억제를 매개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기대이하 소행성 '베누' 시료…과학에 절제도 필요
2025.02.19
심지어 외모(염색한 머리카락)까지 걸고넘어졌다. 결국 울프사이먼은 논문 발표 직후
실험실
을 떠나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로 옮겼지만, 연구비를 구하지 못하고 논문도 실어주는 곳이 없어 학계를 떠나야 했다. 이에 대해 울프사이먼은 "나는 (다들 피하는) 방사성동위원소가 됐다"고 회상했다. ... ...
박테리아, 우주탐사 걸림돌에서 동반자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석회석을 생산할 수 있다. 우주는 중력이 거의 없는 미세중력 환경이기 때문에 지구의
실험실
환경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은 변수다. 지구에서는 유용했던 박테리아가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활용도가 크게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주비행사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도 과제다. 박테리아는 ... ...
"
실험실
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8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김경택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장이 레이저 펄스로 전자를 가속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광주=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에서 일어나는 빛과 물질의 극단적 상호작용은 관측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강력한 레이저 실험으로 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